美재무, 中부총리 통화서 “중국 마약단속 노력에 심각한 우려”

中펜타닐 차단 의지에 의문제기
10%P 추가관세 지속될 가능성
경제 불균형·불공정무역도 거론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미 재무부 홈페이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통화에서 중국의 마약단속 노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미 재무부가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간 ‘관세 전쟁’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재무부는 이날 오전 베센트 장관과 허 부총리의 통화 사실을 알리며 통화에서 양국간 경제 관계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재무부는 “베센트 장관은 통화에서 중국의 마약 단속 노력과 경제 불균형, 불공정 무역정책 등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며 “미국 경제와 미국 노동자,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한 무역·경제정책을 추구하겠다는 미국 행정부의 의지를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베센트 장관과 허 부총리는 앞으로도 계속 소통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베센트 장관이 중국 마약단속 노력에 우려를 표한 것은 중국에 대한 ‘관세 압박’이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미국은 지난 4일부터 합성마약 펜타닐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것에 대한 대응을 요구하며 중국산 제품에 10%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 역시 이에 맞서 10일부터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원유 등에 대한 맞불 관세를 부과하고,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시작하는 등 대응에 들어간 상태다.


미국의 선제적인 관세부과 조치의 명분이 펜타닐에 있는 만큼, 베센트 장관이 이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은 미국이 관세부과 조치를 철회하기에는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뜻으로 읽힌다.

여기에 더해 미중간 경제 불균형, 중국의 불공정 무역정책을 언급한 것은 4월 2일부터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호 관세’와 연관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중인 상호 관세는 무역 상대국의 관세율과 비관세장벽을 고려해 부과될 전망이다.


이에 앞서 신화통신은 허 부총리가 베센트 장관과 통화하며 양국간 경제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했고, 이 과정에서 허 부총리는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등 제한 조치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보도했던 바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