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mmw.mbn.co.kr/storage/news/2025/01/26/f0adb0c0d74f7949f4e1c5b9395d0811.jpg) |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서울 아파트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역대 처음으로 전체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값 상승과 더불어 인기지역 아파트를 선호하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거래된 5만 6천800여건 가운데 실거래가격이 9억원을 초과한 경우가 전체의 53.8%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정부가 실거래가 신고를 의무화한 2006년 이후 처음입니다.
서울 아파트 금액대별 거래 비중은 2018년만 해도 전체 계약의 83.4%가 9억원 이하 거래였고 9억원 초과는 16.6%에 불과했습니다.
당시는 1주택자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못 받는 고가 아파트의 기준이 9억원으로, 거래 10건 중 6건 이상(60.9%)이 6억원 이하에 팔렸습니다.
이후 저금리 장기화와 2020년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의 부작용으로 전셋값과 아파트값이 동반 상승해 2020년에는 9억원 초과 계약 비중이 31.6%로 증가했고, 2021년에는 44.3%로 늘었습니다.
그러다 2022년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거래 절벽이 심화하고 아파트값도 급락하며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38.8%로 줄었으나, 2023년 매매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다시 46.5%로 높아졌고 지난해는 절반을 넘었습니다.
정부가 2023년에 특례보금자리론, 2024년부터는 신생아 특례대출로 9억원 이하 주택 구입에 저리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9억원 초과 거래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인 겁니다.
지난해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과반을 차지한 것은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지역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이 큽니다.
KB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말 8억4천502만원이던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지난해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