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감칠맛 핵심 '양념 코팅' 갓 튀긴 감자칩 검사, AI가 척척

농심 아산공장 직원이 AI 딥러닝을 통해 튀김 과정에서 나오는 탄화물을 선별하고 있다(윗 사진).아래쪽 사진은 포테토칩 먹태청양마요맛이 생산되는 모습. 농심

지난해 6월 말 출시된 먹태깡은 먹태 특유의 풍부한 감칠맛이 나면서도 청양마요맛을 첨가해 짭짤하면서 알싸한 맛을 살려 지난달까지 누적 2000만봉을 판매했다.

'소금빵'과 '초코빵' 두 버전이 나온 빵부장은 손가락보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크루아상 모양을 잘 살린 것이 특징이다.

소금빵과 초코빵은 작년 10월 말과 지난 1월 각각 출시됐으며, 두 제품을 합쳐 지난달까지 1100만봉이라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포테토칩 먹태청양마요맛은 스테디셀러인 포테토칩에 맥주 안주로 제격인 먹태청양마요맛을 첨가했고 지난 1월 출시해 3개월 만에 600만봉이 팔려 나갔다.


농심의 새 효자 상품으로 자리 잡은 '3형제'의 인기 비결은 무엇일까. 그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농심 스낵 전문 공장인 아산공장을 급습했다.


농심 아산공장 직원이 AI 딥러닝을 통해 튀김 과정에서 나오는 탄화물을 선별하고 있다(윗 사진).아래쪽 사진은 포테토칩 먹태청양마요맛이 생산되는 모습. 농심

아산공장 생산라인을 돌다 보면 쉴 새 없이 돌아가는 길쭉한 원통 모양의 '양념 코팅 설비'가 자주 눈에 띈다.

이게 바로 스낵의 맛과 향을 좌우하는 핵심 설비 중 하나다.

이 설비 안에서는 생소하기 그지없는 '미부'와 '당액'이 제품에 코팅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먹태깡과 빵부장, 포테토칩 먹태청양마요맛의 매력은 이 미세한 차이에서 발생한다.


일단 먹태깡과 빵부장, 포테토칩 먹태청양마요맛은 원료와 만드는 과정이 다르다.

먹태깡은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며 농심 청도법인에서 반제품을 만들어 아산공장에서 직접 튀긴다.

튀기고 나면 먹태깡 크기로 부풀어 오르지만 아무 맛도 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먹태 농축액 등이 포함된 당액과 짭조름한 미부로 코팅한 뒤 150~200도에 이르는 열풍으로 건조시키면 먹태깡으로 완성된다.


빵부장은 먹태깡과 달리 옥수수 가루를 주원료로 한다.

또한 기름에 튀기는 대신 뻥튀기 원리처럼 고온·고압의 압출 설비를 이용해 크루아상 모양을 만드는데, 이를 '펠렛'이라고 부른다.

농심은 제대로 된 빵부장을 만들기 위해 2022년 새 설비를 들였다.


그러나 문제는 크루아상 모양을 내는 것이었다.

'바나나킥'의 경우 기다란 모양에 굴곡이 없어 쉬운 반면 빵부장은 크루아상 모양을 구현하기 위해 과자 가운데 부분을 양쪽 가장자리보다 부풀려야 한다.


이병일 농심 아산공장장은"빵부장은 모양을 잘 살리는게 핵심인데 구현하는게 쉽지 않아 연구개발에만 1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포테토칩은 제품명 그대로 생감자를 주원료로 한다.

농심 포테토칩은 수확 시기에 따라 1년 중 4개월씩 나눠 국내와 호주, 미국에서 감자를 수급한다.

좋은 감자가 포테토칩의 핵심인 만큼 국내는 물론 해외 농가에 가서 감자 상태를 직접 확인한다.


검사 기준에 따라 통과된 감자는 일단 나무 상자에 담겨 보관 창고에 저장된다.

생산이 결정되면 감자를 출고하는데, 먼저 감자 표면에 묻은 흙과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씻는다.

부패하거나 청색을 띠는 불량 감자는 1차로 제거한다.

세척된 감자는 원심력을 이용한 설비로 껍질을 벗기고 1차에서 제거되지 않은 불량 감자를 또다시 제거한다.

속이 드러난 감자는 약 1.4㎜ 두께로 얇게 자른다.

품질관리팀은 생육 조건에 따라 단단하거나 무른 감자가 있으면 두께를 조정한다.

얇게 자른 감자는 먼저 뜨거운 물에 데치는데 감자칩 색상을 밝게 하기 위해서다.

전분이 많은 감자를 데치지 않고 튀기면 색이 진해진다고 한다.


기름에 튀긴 다음에는 색채선별기를 이용해 변색하거나 탄 칩을 제거하고 먹태청양마요맛이 나는 미부로 코팅한다.


농심 아산공장은 디지털 혁신을 생산 현장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AI 딥러닝을 통해 튀김 과정에서 나오는 탄화물을 선별하는 검사 장비 운영이다.

포테토칩이 생산되면 이를 카메라로 촬영해 딥러닝 학습을 시켜 불량품을 가려낸다.


무인자동화 로봇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아산공장에서 생산되는 음료인 카프리썬에 도입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