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 부활을 노리고 있는 일본 정부가 자국 대표 기업들이 연합해 만든 기업 라피더스에 최대 5900억엔(약 5조2700억원)을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2일 사이토 겐 경제산업상은 "차세대 반도체는 일본 산업 경쟁력의 열쇠"라며 "경제산업성도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라피더스는 2022년 도요타, 키옥시아, 소니, NTT, 소프트뱅크, NEC, 덴소, 미쓰비시UFJ은행 등 일본 대표 기업 8곳이 연합해 첨단 반도체 국산화를 위해 만든 회사다.

라피더스는 지난해 아직 TSMC와 삼성전자도 도달하지 못한 최첨단 2㎚(나노미터·10억분의 1m) 제품을 2025년에 시험 생산하고, 2027년부터 양산한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까지 라피더스에 3300억엔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지원으로 정부 지원금이 총 9200억엔(약 8조2000억원)으로 늘어난다.

라피더스는 홋카이도 지토세에 공장을 짓고 있는데, 정부 지원금은 공장 건설비와 반도체 제조 장비 도입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조금 5900억엔 중 50억엔 이상이 후공정 기술 연구개발에 사용된다고 보도했다.


반도체 공정은 크게 웨이퍼 공정인 전공정과 패키징·테스트 작업을 하는 후공정으로 나뉜다.

10㎚ 이하 초미세 공정부터는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어 업체들은 패키징 기술을 통해 성능을 끌어올리려 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후공정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정부는 자국 반도체 산업 부활을 위해 2021년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맞춰 4조엔(약 35조원) 규모의 지원 예산을 확보하는 등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을 늘리고 있다.

지난 2월 규슈 구마모토현에 개소한 대만 TSMC 제1공장에는 최대 4760억엔(약 4조2341억원)의 보조금을 제공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또 오는 10일 미·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차세대 반도체뿐 아니라 범용 반도체 부문에서도 경쟁자인 중국을 겨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0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성명에 반도체 조달 시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공급망 구축 협력을 확인한다는 내용이 명기될 방침이다.


미·일은 정상회담에서 범용 반도체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주요 7개국(G7)과 협력하는 데 합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 정부는 이 같은 방침을 따르는 일본 기업에 보조금을 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범용 반도체는 최첨단 반도체에 비해 성능은 부족하지만, 각종 전자제품과 자동차, 국방 분야 등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중국의 범용 반도체 세계 시장점유율이 31%로, 2027년께 39%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