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인식조사
거주가치 비중 앞서지만
젊을수록 투자 비중 커져
2030 ‘입지’ VS 4060 ‘편리성’

[매경DB]
“전 재산뿐 아니라 영혼까지 끌어모아 사들이는 게 집인데, 당연히 거주 이상의 가치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29세 사회초년생 A씨)
일반 국민이 생각하는 주택의 투자가치 비중은 어떻게 될까. 국토연구원 조사 결과 2030세대 등 연령대가 낮을수록 부동산의 투자가치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은 전국 19~69세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주택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주택에 대한 투자·거주 가치 비중’을 물은 결과, 주택에 대한 투자가치(30.6%)보다 거주가치(69.4%) 비중이 평균적으로는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주택의 ‘투자가치 비중’ 차이. [자료 = 국토연구원]
그러나 세대별로는 미묘하게 차이가 났다.

젊은 층일수록 주택에 대한 투자가치 비중을 높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가 생각하는 주택의 투자가치 비중은 각각 34.1%와 33.2%로 평균(30.6%)을 웃돌았다.

반면 40대 29.1%, 50대 28.8%, 60대 28.8%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투자가치에 대한 비중은 줄고 거주가치에 대한 비중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지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수년간 젊은 층이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영끌’이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이들에 있어 대출은 주택 구매에 있어 필수적으로 따라오는 요소인 만큼, 젊은 층일수록 투자가치를 더 높게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거주지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편리성(67.6%·1·2순위 기준)’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말하는 편리성이란 주택면적의 적정성, 내외부 편의시설 등을 의미한다.

입지(60.0%), 경제성(50.3%) 등이 뒤를 이었다.


거주지 선택의 중요 요소 [자료 = 국토연구원]
다만 20대와 30대는 편리성보다는 입지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조사에서 입지는 ‘직주근접, 대중교통 및 교육·문화 시설 이용의 용이성’을 의미했다.

20대는 64.4%가, 30대는 66.7%가 거주지 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입지를 꼽았다.


김 연구위원은 “젊은 층일수록 직주근접을 중시한다고 볼 수 있다”며 “도심 주택공급 확대와 교통접근성 개선을 꾸준히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동산 관련 세금을 중과할 때 다주택자에 대한 기준은 현재처럼 2주택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다주택자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냐는 질문에 응답자 56.1%가 ‘완화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단 중과 기준으로는 주택 수보다 소유주택의 가격총액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78.5%를 차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