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4고로 오늘 재가동…이르면 내일 모든 고로 정상화

포스코는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를 입어 가동이 중단된 포항제철소 고로 3기를 이르면 내일(13일)까지 모두 정상화한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포스코는 지난 10일 포항제철소 3고로를 정상 가동한 데 이어 이날 중으로 4고로를 재가동할 예정입니다.

또 이르면 내일(13일)께 2고로도 재가동하며 휴풍(가동 중단)에 들어간 지 일주일 만에 고로 3기를 모두 정상화한다는 계획입니다.

포스코는 아울러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을 처리하기 위해 제강(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과 연주(쇳물로 슬라브를 만드는 작업) 설비 복구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날 2제강 4전로와 3제강 1전로의 재가동을 시작한 포항제철소는 빠른 시일 내에 모든 제강 설비를 정상화한다는 방침입니다.

다만 인근 하천인 냉천의 범람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압연(열과 압력을 가해 철을 가공하는 작업) 라인은 배수와 진흙 제거 작업이 아직 진행 중입니다.

포스코는 고객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광양제철소를 최대 생산체제로 전환해 긴급재 생산에 나서는 한편 보유 중인 재고를 고객사에 공급하기 위한 비상출하대응반을 내일(13일)부터 가동할 예정입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지난 6일 새벽 최대 500mm의 기록적인 폭우와 냉천의 범람으로 한전의 전기공급 시설인 수전변전소를 비롯한 제철소 대부분 지역이 침수·정전되면서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포항제철소의 고로 3기가 동시에 가동을 멈춘 것은 1973년 쇳물 생산을 시작한 이후 49년 만에 처음입니다.

특히 고로는 5일 이상 가동을 멈출 경우 재가동에 수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포스코는 고로 재가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추석 연휴 기간 포항제철소·광양제철소와 협력사, 관계 기관 임직원 등 하루 평균 8천여명, 누적 3만여명을 복구 작업에 투입했습니다.

서울 포스코센터 임직원 200여명과 광양제철소 직영·협력사 직원 300여명도 복구 작업에 참여했으며 경북도와 소방청, 조선사, 해병대 등으로부터도 대용량 방사포와 소방펌프, 살수차 등 중장비와 인력을 지원받았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