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그래픽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영국 반도체 설계 기업 ARM(암) 인수가 결국 무산됐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 독점 등에 대한 업계의 우려는 사라지게 됐지만, 삼성전자처럼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인수·합병(M&A)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키우려는 기업 입장에서는 전략을 다시 가다듬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ARM 인수를 포기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ARM의 대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도 매각 대신 ARM의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고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1990년 영국에서 설립된 ARM은 반도체 설계만 하는 팹리스 기업입니다.

삼성전자, 애플, 퀄컴 등이 개발·판매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의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RM이 이런 핵심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를 차별 없이 전 세계 기업에 공급하면서 현재 모바일 기기의 95%가 이 회사 기술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과 영국 등 주요국의 경쟁 당국과 반도체 업계는 엔비디아가 ARM을 인수하면 혁신과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며 인수를 반대해왔습니다.

경쟁 기업들이 ARM의 모바일 반도체 설계 기술을 사용할 때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입니다.

엔비디아가 갑자기 로열티를 크게 올린다거나 공급을 끊어버리는 등의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도체 업계는 이번 거래 무산으로 이런 불확실성이 사라진 데 대해서는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은 "엔비디아와 ARM의 합병이 성사됐다면 칩 제조사인 엔비디아가 글로벌 AP 핵심 기술의 주도권을 쥐게 돼 경쟁사인 삼성전자나 애플, 구글의 우려가 매우 컸던 상황"이라며 "독과점 우려가 해소됐다는 점에서 업계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반도체 관련 대규모 M&A 승인이 한층 까다로워지고, M&A 무산 사례가 잇따르면서 삼성전자가 예고한 대형 M&A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실제로 이달 초에는 독일 정부가 44억 유로(약 6조 원) 규모에 달하는 대만 글로벌웨이퍼스의 독일 반도체기업 실트로닉 인수를 막았습니다.

세계 실리콘 웨이퍼 시장 3, 4위 업체 간의 M&A로 관심을 모았지만 결국 독일 정부의 문턱을 넘지 못한 것입니다.

지난해 12월에는 중국계 사모펀드가 국내 중견 시스템 반도체 기업 인수를 추진했으나 미중 갈등 끝에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도 내부적으로 대규모 M&A를 추진 중입니다.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은 지난달 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2'에서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 모바일, 가전 등 전 사업 부문의 M&A 가능성을 언급하며 "조만간 좋은 소식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메모리 세계 1위인 삼성전자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후발주자이기 때문에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의미 있는 M&A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왔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가 안보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승인 요건이 한층 까다로워지고 있는 것 같다"면서 "삼성전자도 M&A 전략에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학회장은 "독과점 우려가 나오는 사업군에서는 M&A 하기가 더 어려워진 상황을 인식하고, 미래성장 가능성이 큰 사업영역에서 규모가 작더라도 성장 잠재력이 있는 업체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 임정화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