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이 '삼성 한국형TDF(타깃데이트펀드)' 시리즈가 지난 2016년 4월 출시 이후 약 2년 6개월 만에 수탁고 5천억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TDF 시장은 약 1조2천800억 원 규모로 삼성 한국형TDF 시리즈가 이 중 약 4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펀드는 설정후 꾸준하게 수익을 내며 수탁고 증가를 뒷받침했습니다.
특히 7개 시리즈 상품 중 주식 비중이 가장 높은 2045 펀드는 설정 후 21.14%, 최근 1년 5.08%의 성과를 거뒀습니다.
회사 측은 삼성 한국형TDF 성과의 주요인으로 변동성 관리를 꼽았습니다.
연금에 특화된 초장기 투자상품인 만큼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데 운용 노하우를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실제 삼성 한국형TDF 2045 펀드의 표준편차는 최근 1년 기준 7.55%를 기록했습니다.
삼성 한국형TDF는 미국 캐피탈그룹의 13개 펀드에 분산투자합니다.
미국과 유럽, 이머징 마켓 등 전세계 70여 개국, 1천200여 개 글로벌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에 연금투자 상품으로서의 낮은 변동성을 유지한 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펀드의 글로벌 분산투자 내용을 살펴보면 북미 49%, 유럽 31%, 아시아 15% 순의 지역 비중으로 투자하며, 국가별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순의 투자비중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전세계 시가총액 대비 차지하고 있는 비중(1~2% 내외)대로 편입하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분산투자를 시현하고 있습니다.
한편 삼성한국형TDF는 출시 1년 만인 지난해 4월 수탁고 1천억 원을 넘어선 데 이어, 올해 1월엔 3천억 원을 돌파하는 등 월말 잔고 기준으로 출시 이후 한 번의 자금 유출 없이 순증했습니다.
상품별, 업권별로도 수탁고가 고르게 늘었습니다.
삼성 한국형TDF는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펀드 등 총 7개 펀드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 중 이미 은퇴한 투자자들의 요청에 따라 추가 설정한 2015 상품을 제외하면 나머지 모든 상품이 최소 540억 원부터 1천113억 원에 이르는 등 출시 이후 꾸준히 자금이 유입됐습니다.
또 업권별로도 모두 5천억 원의 수탁액 중 증권사 49%, 은행 40%, 보험사 11% 내외의 비중으로 고르게 판매됐습니다.
김정훈 연금사업본부장은 "출시 초기엔 소수의 판매사에서 니즈가 있었다면, 지금은 다양한 고객접점 채널에서 투자문의가 이어지면서 판매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삼성 한국형TDF가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대표적인 연금상품으로 자리잡았다는 반증"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삼성 한국형TDF가 지난달 근로복지공단에서 선정한 퇴직연금 대표상품에 채택된 것도 결국 글로벌자산배분에 따른 안정적인 변동성 관리와 장기 성과 창출 능력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은 회사 페이스북 채널을 통해 삼성 한국형 TDF 수탁고 5천억 원 돌파 기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벤트는 삼성자산운용 페이스북 팬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여방법 또한 간단해서 오는 4일에 발행되는 콘텐츠에 댓글을 달아 응모하면 됩니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자산운용 페이스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