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내일(5월1일)은 근로자의 날입니다.
일년 전, 휴일에도 작업을 강행하다 사고를 당한 삼성중공업 하청 근로자들의 사망 1주기이기도 한데요.
노동계는 삼성중공업에 대책 마련을 강도 높게 요구했습니다.
이명진 기자입니다.


【 기자 】
800t짜리 크레인과 공중에서 부딪힌 타워 크레인은 힘없이 꺾였습니다.

100m 남짓한 높이의 타워크레인은 바로 아래 있던 근로자 휴게소를 덮쳤습니다.

근로자의 날, 휴일에도 현장에 나왔던 비정규직 하청 노동자 6명은 이날 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검찰은 사고와 관련해 당시 삼성중공업 소장이었던 김모 씨 등 14명을 불구속 기소 처분했습니다.

근로복지공단은 지난 20일 사고를 목격한 하청 노동자 7명의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정부 당국이 사고로 고통받은 노동자들을 1년 가까운 시간 동안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근로복지공단 관계자
- "산재신청이 들어와야지 업무 처리를 하는거지 사고가 나고 정신 질병에 대한 관리나 이런 부분은 저희가 할 수 없는거고요. 목격자들에 대한 케어는 고용노동부 같은 기관들이 해야 하는 부분이죠."

조선업 중대산업재해 국민참여 조사위원회는 최근 10년 간 삼성중공업에서 모두 7차례의 크레인 충돌사고가 일어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삼성중공업은 사고를 막기 위한 크레인 충돌 방지 센서를 검토 단계에서 그쳤을 뿐 현장에 도입하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김태구 / 인제대 보건안전공학과 교수
- "하청 근로자들은 소외되는 경향이 있어요. 시간이 흐르면 잊혀지잖아요. 그래서 처벌도 흐지부지 되고 보상도 그렇게 되는데 그런 것들은 꼼꼼히 잘 챙겨야…."

한국노총을 비롯한 노동계는 삼성중공업을 최악의 사망사고를 낸 기업으로 꼽으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매일경제TV 이명진입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