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단정함의 대명사였던 교복이 이젠 불편해도 입을 수밖에 없는 패션 아이템이 됐습니다.
기업들의 상술도 문제지만, 정부의 무관심도 이런 왜곡을 낳았습니다.
교복이 드리운 그늘, 박상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우리나라에서 교복 자율화가 시행된 건 지난 1983년.

검정색 모자와 통이 큰 일자바지, 윙칼라 블라우스와 무릎을 가리는 플레어스커트로 대변되는 일본식 교복 입기에서 탈피하겠다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나 곧 복장자율화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며 1986년 교복 착용 여부는 학교장 재량에 맡겨졌습니다.

이후 교복업체들은 교복착용 학교를 집중적으로 공략했고, '다리가 길어 보이는 학생복' '내 몸에 딱' 등의 광고 문구로 학생들의 환심을 샀습니다.

특히 2000년대 이후부터는 '라인이 예술이다' 같은 상업성 짙은 카피가 등장하면서 이른바 '한뼘교복' 트렌드가 굳게 자리를 잡았습니다.

결국 교복 매장에서 품이 넓고 입기 편한 옷은 구매조차 어려워졌습니다.

▶ 인터뷰(☎) : 교복 대리점 관계자
- "요즘 추세가 슬림핏을 원하기 때문에 옛날처럼 일자바지가 별도로 나오지는 않는다. (통이)넓은 걸 원하면 치수보다 큰 것을 사서 허리를 줄여주시면…"

사정이 이렇다 보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엔 '꽉 끼는 교복이 불편하다' '교복을 없애 달라'는 내용의 글도 종종 눈에 띕니다.

결국 비판의 화살은 주무부처인 교육부로 향합니다.

▶ 인터뷰 : 최미숙 / 학교를사랑하는학부모모임 대표
- "교복은 패션이 아니고 교육인 거죠. 정부당국 교육부에서 손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교육청, 학교와 함께 우리 아이들이 수업 시간에도 편리하고 기능성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지만 정작 교육부엔 올바른 교복 착용이나 작은 사이즈 때문에 발생하는 학생들의 건강 문제를 다루는 조직과 인력이 사실상 없는 상황.

그나마 교복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교육복지정책과, 민주시민교육과 등도 제각기 흩어져 있어 효율적인 정책 집행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복을 어떻게 입어라'하는 부분은 학칙에 따르는 것"이라며 "다만 교복 가격 안정화와 인권 교육, 민주시민 교육 등은 면밀히 챙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스탠딩 : 박상훈 / 기자
- "교복도 옷인 만큼 패션 트렌드와 무관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한뼘교복’을 계속 입히는 것이 바람직할지 학교와 정부, 기업이 곱씹어야 할 때입니다. 매일경제TV 박상훈입니다.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