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시황]뉴욕 증시 혼조세…트럼프 취임 전 숨 고르기 지속

새벽 글로벌 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미국 증시는 경제지표 호조 속에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국제유가 하락에 여파로 다우지수는 소폭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지난 연말 유통업체들의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발표로 월마트, 타켓, 메이시스 등 대형 유통주들이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취임으로 셰일가스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란 전망으로 국제유가가 2.7% 하락하면서 상승 동력을 제한시켰습니다. 옐런 의장은 연설에서 미국 경기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재확인하면서 올해 점진적인 금리인상에 힘을 실었습니다. 다우지수는 0.11% 하락했고 S&P500 지수는 0.18% 상승, 나스닥 지수는 0.31% 각각 상승 마감했습니다.

유럽 증시는 하드 브렉시트 우려를 딛고 하루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영국 증시는 메이총리의 연설로 브렉시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상승 반전에 성공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반등했던 파운드화는 이날 다시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영국증시는 0.38% 상승했고 독일은 0.51% 상승, 프랑스는 0.13% 하락 마감했습니다.

전일 우리시장은 장초반 변동성에도 지수 저점을 잡으면서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아시아 시장 전체적으로 전약 후강의 시장 상황을 나타내면서 최근 트럼프 정책불확실성, 하드브렉시트에 대한 우려 등 시장의 악재 요인이 조금씩 완화되어 가는 모습을 연출했습니다. 특히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의 수급이 살아나면서 주도업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종목들이 큰 폭으로 반등하면서 시장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가운데 외국인, 기관들의 수급스탠스 변화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의 단기적인 악재들이 점차 완화되고 있는 단계에서 추가적인 반등을 염두해 둔 시장 전략이 필요합니다. 주도업종인 IT 위주의 포트전략과 낙폭 과대 종목군의 순환매 전략이 여전히 유효하고, 결국 악재 해소 이후 시장은 기업들의 실적이 무게 중심이 될 것이기 때문에 실적 호전주 위주의 대응전략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MBN골드 김영민매니저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