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이 어제(17일) 강원도 평창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주최의 심포지엄에서 김치유산균 상용화에 대한 사례를 발표했습니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심포지엄은 국내 미생물학과 생명공학 분야의 국내 최고 학회이자 국제 저명 학회입니다.
이번 동계 심포지엄의 주제는 '게놈부터 장내 미생물까지(From Genome to Microbiome)'로, 미생물과 생명공학 관련 학계, 연구소, 기업 등 전문가와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해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공유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기업 대표로 심포지엄에 초청된
CJ제일제당은 김봉준 통합연구소 유용미생물센터장이 연사로 나서서 '김치의 유익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발표에서는 3천500여 개 김치유산균 분석을 통해 지난 2013년 12월 제품화에 성공한 BYO 피부유산균 CJLP133의 연구 배경과 세계 최초 피부면역 개별인정 원료 개발 과정, 신규 인체적용시험 연구 결과 등이 소개됐습니다.
김봉준
CJ제일제당 유용미생물센터장은 "김치유산균과 같은 유용미생물은 약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예방의학 의료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무궁무진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이나연 기자 /nayeon@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