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금융감독원이 최근
현대건설에 대한 회계감리에 착수하면서 추가로 다른 건설사들에 대한 회계감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습니다.
현대건설과 같이 미청구공사대금이 많은 건설사들이 주요 타깃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금융감독원은 최근
현대건설과
현대건설의 외부감사인인 딜로이트 안진에 미청구공사대금과 공사원가 추정치 등 회계자료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미청구공사대금은 시공사가 공사를 진행하고나서도 발주처에 청구·회수하지 못한 금액을 뜻합니다.
현대건설은 미청구공사대금이 지난 3분기 말 기준 3조6천억 원대에 달해 업계 최고 규모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은 해외플랜트 사업을 수주할 경우 미청구공사대금이 자연스럽게 쌓일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건설사들이 공사진행률을 실제보다 부풀릴 경우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현대건설 회계감리에 대해 지난해 선정한 테마감리 중 하나로 수주산업의 공시 적정성을 들여다보기로 한 데 따른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현대건설이 지난 10년간 테마감리를 포함한 회계감리를 받지 않은 점도 이번에 5년치 자료를 한꺼번에 요구한 이유로 작용했다는 설명.
금감원 관계자는 "
현대건설과 비슷한 사례가 발견될 경우 추가로 회계감리를 진행할 수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이에 미청구공사대금이
현대건설 다음으로 많은
대우건설과
GS건설 등이 긴장하고 있는 상황.
특히
현대건설의 지난 3분기 매출액 대비 미청구공사대금 비율은 19%인데,
GS건설의 경우 21%(2조1천918억 원)로 더 높습니다.
GS건설은 과거에 해외 사업과 관련한 영업손실을 사업보고서에 반영하지 않았다가 나중에 대규모 손실 처리, 이른바 빅배스를 단행하면서 주주들로부터 집단 소송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
현대건설과
GS건설은 저유가로 재정여건이 악화된 중동과 중남미 등에서 저가수주한 사업이 많아 리스크가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