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박근혜 대통령이 장·차관 인선을 대부분 마무리하면서, 이제 금융기관 인선에 관심이 몰리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정치금융'을 펼쳤던 지난 정부와는 명확한 선긋기에 나서고 있어 적잖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김유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박근혜 정부의 첫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된 신제윤 후보자.
신 후보자는 임명 직후 현직 금융기관장들을 정치권 인사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교체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금융산업을 정치금융에서 탈피시켜 시스템 외적인 리스크를 차단하고, 금융산업의 신뢰를 되찾겠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명박 전 대통령은 메가뱅크과 금융공기업 민영화 등 실타래처럼 얽힌 금융 현안을 풀기 위해 금융기관장 인선을 사실상 청와대가 관리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위기 여파로 대다수 사업들이 좌초됐고, 낙하산 인사 비판이나 저축은행 불법대출 사태 연루 의혹 같은 부작용만 초래했습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정치권 인사를 최대한 배제하고, 관료 출신들을 대거 기용할 것이란 전망이 높습니다.
특히 새 정부가 서민·중소기업 보호를 정책목표로 삼고 있어 관리형 인사가 자리할 것으로 점쳐집니다.
다만 현직 기관장들이 강력한 연임의지를 내비치고 있어, 교체과정에서 다소간의 진통이 예상됩니다.
어윤대
KB금융 회장은 일찌감치 사조직 성격의 재임추진위원회를 꾸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도 전직원들에게 "인사청탁은 안 된다"며 내부단속에 나섰습니다.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과 김용환 수출입은행장·박병원 은행연합회장 등도 임기가 아직 많이 남아있어 저항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금융당국이 강도 높은 인사쇄신 의사를 밝힌 상태라, 대규모 기관장 교체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M머니 김유경입니다. [김유경 기자 / neo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