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강남 재건축 사업인 개포
우성7차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총공사비에 포함된 세부 항목들을 공개했다.
8일
대우건설은 대안설계 적용에 따른 인허가 비용과 착공 전 각종 비용으로 추산되는 측량비·지질조사비·풍동실험비 등을 30억원까지 부담한다고 밝혔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시공사로 선정되는 즉시 조합이 제시한 원안 계약서를 100% 수용해 계약을 체결하고 곧바로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인허가와 각종 비용을 부담할 계획”이고 말했다.
개포
우성7차는 지하철 3호선 대청역과 인접한 역세권 단지로
대우건설은 대청역과 단지를 직통 연결해 ‘써밋 프라니티’를 초역세권 프리미엄 단지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연결공사 인허가 지원은 물론 해당 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용 최대 80억 원도 시공사인
대우건설이 부담하겠다는 의지도 덧붙였다.
대우건설 측은 “불확실한 인허가 사항에 대해서는 말로만 지원하겠다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지원을 보장해 조합원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제안”이라며 “만약 인허가가 불가능할 경우 해당 예산은 단지 고급화를 위한 다른 항목에 투입하겠다”고 설명했다.
최근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정비사업장에서 시공사 공사비 인상에 대한 조합의 경계가 높아지는 가운데
대우건설은 조합 요청 시 공사비 검증에 드는 비용 전액도 부담하겠다고 했다.
내부 마감재 측면에서도
대우건설은 강남 핵심 재건축 단지에 걸맞은 최고 사양의 자재들을 제안했다.
특히 진공 흡입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 설비’는 일반 분쇄형 처리기에 비해 약 30억~40억원 높은 고가의 시스템으로 공사 기간이 더 소요되지만 최신 하이엔드 주거 단지에는 필수 설비라는 판단 아래 포함했다.
이외에도 최근 재건축 단지의 고민거리 중 하나인 상가 분양 활성화를 위한 MD 구성과 분양 컨설팅 비용 역시 총공사비에 포함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다양한 세부 항목들을 총공사비에 포함해 약 20억 원의 공사비 차이를 상쇄했으며 조합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구성했다”며 “조건의 우수성에 대한 의구심도 있겠지만 ‘대우가 하면 다르다’는 인식 아래 약속을 지키는 시공사로 조합원에게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