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 기다렸는데 또 배신...분노에 휩싸인 위례 주민들 “철도 약속했잖아”

위례신사선 재정사업 전환
“수천억 교통분담금 냈는데
예타통과 못하면 또 낭패”
주민반발 16일 시청서 시위

‘위례자이 더 시티’ 단지 전경. [네이버지도]
위례신도시 주민들이 철도 신설 무기한 연기에 반발하며 집단 행동에 나선다.

서울시의 위례신사선 재정사업 전환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한 상태다.

이들은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를 대상으로 위례신도시에 조속한 철도 신설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도 열기로 했다.

2008년 신도시 조성 당시 주민들이 광역교통분담금을 부담했지만 17년째 철도가 놓이지 않으며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위례신도시시민연합은 오는 16일 서울시청 앞에서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를 대상으로 조속한 철도 신설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한다.

위례 주민들이 집단 행동에 나선 이유는 신도시 조성 당시 정부가 약속한 철도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지하철 3호선 신사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으로 위례신도시 교통망 개선을 위한 핵심 사업이다.

2008년 위례신도시 기획 단계부터 추진됐다.

하지만 최초 민간사업자인 삼성물산이 2016년 손을 떼고, 이후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GS건설 컨소시엄도 사업을 포기하며 사업이 장기 표류하고 있다.


서울시는 새로운 사업자를 찾기 위해 두 차례 공고를 거쳤지만 공사비 부담으로 건설사들이 입찰에 나서지 않으며 유찰돼 작년 11월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됐다.

즉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철도를 짓겠다는 뜻이다.


문제는 재정 투입을 위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거쳐야만 하는데, 이 과정이 녹록치 않다는 점이다.

시민연합 측은 “이미 2018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사업을 2025년에 다시 하겠다는 것은 시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만약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할 경우 대책은 제시된 바 없어, 사업 추진 진정성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시민연합 측은 서울시를 상대로 민자사업해지를 취소해달라는 내용의 행정소송도 제기해 오는 6월 변론이 실시될 예정이다.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이 같은 반발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08년 국토교통부가 위례신도시 개발을 발표할 당시부터 광역교통대책을 약속했고, 주민들은 주택을 분양받으며 총 1조6800억원을 광역교통분담금으로 부담했다.

이 중 4300억원은 위례신사선과 위례과천선 등에 투입될 예정이었는데, 실제 착공은 요원한 상태라는 주장이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위례과천선 노선도에 위례신도시 역 시선은 빠지며 주민들의 반발이 더 커지고 있다.

위례과천선은 과천시와 강남구, 송파구를 연결하는 총 길이 28.25㎞의 광역철도 민간투자사업이다.

최근 공개된 노선도에 따르면 위례과천선의 3개 노선 중 송파구에 신설되는 노선의 종착역은 지하철 8호선 문정역과 복정역 인근에 그친다.

위례신도시 주민들은 “위례과천선은 위례 중심부를 경유하기로 한 원안은 사라지고, ‘문정-압구정 경유 노선’으로 변질됐다”며 “위례신도시 주민들을 배신한 대표적 사례”라고 꼬집었다.


이처럼 교통망 개선이 차일피일 미뤄지며 일부 행정구역은 강남3구인 송파구에 속해 있음에도 위례신도시 집값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경기 하남시에 행정구역이 속한 위례롯데캐슬 전용 84㎡의 최근 거래가는 12억6800만원으로 지난 2021년 9월 최고가(14억9000만원)의 85% 수준이다.

경기 성남시에 행정구역이 속한 힐스테이트위례 전용 99㎡의 최근 거래가는 17억2000만원으로 2022년 3월 최고가(20억5000만원) 대비 84%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