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집토끼’ 노동계 달래려 좌클릭…정년연장·노조강화 외쳐

이 후보, 右클릭서 다시 ‘좌향좌’
한노총 정책협약식·非전형 노동자 간담회
李 “플랫폼 수수료 상한제 도입, 상병수당 확대”

대법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판결을 한 1일 이 후보가 전국 각지에서 민심을 듣는 ‘골목골목 경청투어’을 시작하며 경기도 포천에서 시민들과 만나고 있다.

연합뉴스

성장을 부르짖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좌클릭하며 방향을 급선회했다.

텃밭인 노동계 표심을 달래고자 정년 연장과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다.


1일 이 후보는 노동절을 맞아 한국노총과 정책협약식을 맺었다.

3개월 만에 한국노총과 다시 얼굴을 맞댄 것이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했다.

이 후보는 “기업이 있어야 노동이 있고, 노동이 있어야 기업이 있다”며 통합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17분간 원고에 없던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노동자를 만나면 반(反)기업이라고 하고, 기업인을 만나면 우클릭이나 쇼라고 얘기한다”며 “분열과 대결의 언어를 버리고 통합의 길로 나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52시간 근무제 예외 조항이 빠진 반도체특별법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이 후보는 “(52시간 예외는) 실익이 없는 제도”라며 “사용자들에게 총노동시간을 늘리지 않고, 노동 강도에 따른 추가 성과도 지급하도록 했더니 기존 제도보다 불리해져서 필요가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집단교섭권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노동자뿐 아니라 기업에도 단결권을 줘야 한다는 취지다.

이 후보는 “공정거래법이 차단하고 있는데 집단교섭을 허용해주자”며 “중소기업이 잘돼야 노동자 삶도 좋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한국노총 정책협약식에 앞서 페이스북을 통해 노동 공약을 내놨다.

핵심은 정년연장과 노조법 2·3조 개정이다.

그는 “정년 연장을 사회적 합의로 추진하겠다”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응하려면 계속 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민주당은 정년연장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오는 11월까지 입법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당내에선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윤석열 정부에서 중단됐던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재가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노조법 2·3조 개정안도 다시 밀어붙일 태세다.

이 후보는 “교섭권을 강화하고 무분별한 손해배상 청구와 가압류로 인한 고통을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노동계 숙원 과제이지만 경영계에선 반기업적 규제가 강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쏟아냈던 바 있다.


플랫폼 시장을 옥죌 수 있는 공약도 내놨다.

이 후보는 “중개 수수료율 차별을 금지하고 수수료 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배달 플랫폼의 불공정 행위를 바로잡겠다는 취지이지만 시장에 직접 개입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셈이다.


이 밖에도 △상병수당 시범사업 확대 △지방공무원에게 노동 특별사법경찰권 부여 △노동법원 신설 △5·1 노동절 개칭 △특수고용직·프리랜서·플랫폼노동자·자영업자 보호 등을 공약으로 함께 제시했다.

잇따른 우클릭 행보로 노동계에서 비판이 제기되자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한국노총 정책협약식을 마친 이후에 비(非)전형 노동자들을 직접 만났다.

전날 서울 구로구 퇴근길에서 직장인 목소리를 들은 데 이어 택배기사·배달노동자 등 노동자 의견을 경청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