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의 임시주주총회 개최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MBK·영풍의 공개매수 마지막 날 대량 매도 등에 대한 시세조종 의혹이 또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서
고려아연은 두 차례 MBK·영풍의 공개매수와 관련해 수상한 매매 행위가 있었다며 시세조종 의혹을 조사해달라고 금융감독원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특히, MBK·영풍의 공개매수 마지막 날 이뤄진 수상한 매도량 급증이 관심입니다.
금융당국 조사 결과에 따라 MBK·영풍의
고려아연 지분 인수 등의 법적 하자 등이 발생돼 임시주총의 최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고려아연이 제기한 첫 진정은 지난 달 17일로 영풍·MBK 연합이 공개매수를 마무리(10월 14일 마감)한 직후였습니다.
영풍·MBK은 공개매수 가격을 총 두 차례 인상했습니다.
처음 가격은 주당 66만 원이었고 9월 13일부터 10월 4일까지 진행했습니다.
이 기간
고려아연 주가는 장중에 공개매수가를 웃돌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됐습니다.
일반주주들이 공개매수에 응할 유인이 없어진 것.
이에 따라 영풍·MBK은 지난 9월 26일에 첫 번째 인상(주당 75만 원)을 했고, 10월 4일엔 두 번째 인상(주당 83만 원)을 했습니다.
공개매수 기간도 10월 14일까지로 연장했습니다.
시세조종 의혹이 불거진 것은 마지막 날인 14일의 거래 때문입니다.
이날 오후 1시 12분쯤 주가가 82만 원으로 최고가를 찍었는데, 그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2시간 뒤인 3시 12분쯤에는 최저가인 77만 9천 원을 기록했습니다.
두 시간 만에 최고가(82만 원) 대비 5% 하락한 것.
당시 주가 차트를 보면
고려아연 주가가 이날 최고가(82만 원)를 기록한 이후 4차례 걸쳐 특정 시간에 매도량이 급증한 것이 확인됩니다.
주가 하락 배경에 대량 매도가 있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고려아연 측은 "이 매도 행위가 상식에 어긋난다"고 주장했습니다.
고려아연은 "일반주주라면 공개매수에 응해 주식을 주당 83만 원에 영풍·MBK 측에 매도하는 것이 유리하다"며 "차트에 등장하는 대량 매도자는 이익을 취할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며 주가를 낮추는 데 일조했다"고 말했습니다.
게다가 이날(14일) 오후 주가 하락은 투자자들의 '시장가 매도'가 주를 이뤘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이 역시 투자 상식과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주가 흐름을 보면서 지정가 매도를 설정해 이익을 최대화하거나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고려아연 측은 "이날 시장가 매도가 주를 이뤘다는 것은 누군가 주가 하락을 인위적으로 노린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같은 시세조종 의혹으로 이득을 본 주체가 궁극적으로는 영풍·MBK 연합이라는 점도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만약 14일
고려아연 주가가 최고점(82만 원)보다 더 올랐다면 두 차례 인상한 공개매수가(83만 원)는 일반주주들 입장에선 매력이 크게 떨어져 영풍·MBK가 원하는 지분율을 갖추지 못할 수도 있었다는 것입니다.
애초 영풍·MBK 연합은 공개매수로 최대 14.61%, 최소 6.98%를 취득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공개매수를 통해 실제 취득한 주식은 5.34%에 그쳤는데 마지막 날(14일) 오후 주가 하락이 없었다면 취득 지분율은 이보다 훨씬 더 낮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고려아연은 "누군가
고려아연 주가를 하락시켰다면 그 행위는 영풍·MBK 연합에 유리한 공개매수 결과를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자본시장법 위반"이라며 "이날 오후에 이뤄진 시장가 매도 주문 내역과 주문자에 대한 실체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주가 하락 이후
고려아연 주주들이 영풍과 MBK의 공개매수에 얼마만큼 응했는지를 확인해 봐야 한다"며 "이는 시세조종으로 이익을 얻은 자가 누구인지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