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업의 규모 확장에 나서고, 역대 최대 규모인 66조 원의 수출금융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2035년까지 우리 산업 내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을 70%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오늘(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4+1 서비스산업 생산성 혁신 지원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일단 기술(테크) 서비스, 콘텐츠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 서비스 부문 중소기업 100곳을 선정해3년간 최대 7억5천만 원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도약(점프업)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관련 정책금융을 확대하기 위해 '혁신성장 공동기준'에 테크 서비스 분야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합니다.
데이터 산업 육성을 위해선 내년부터 의료·통신 분야부터 모든 분야에 마이데이터를 도입합니다.
또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장거리·화물 등으로 다변화하고,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수도권 실증을 추진합니다.
이와 함께 방산·조선·원전·항공 등 주력 제조업의 유지·보수·정비(MRO) 시장을 적극 육성합니다.
제조과정 전반에 걸쳐 연구개발·디자인 등 서비스 투입을 확대하는 한편 제품·기술 등을 디지털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사업모델의 기획·개발을 전 산업 분야에서 지원합니다.
주요 서비스업의 규모화·표준화도 추진합니다.
숙박업의 경우 신축·리모델링을 통한 대형 브랜드호텔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2029년까지 2조5천억 원 규모의 우대금융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대학병원 환자·보호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관광호텔 건축을 촉진하기 위해 대학교 인근 건축 규제도 합리화하기로 했습니다.
노인복지 서비스에선 폐교 부지나 유휴부지를 활용해 도심지 인근의 노인요양시설 공급 확대를 유도합니다.
차별화된 서비스에 추가비용 지불 의사가 있는 노년층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요양시설 관련 신규 서비스의 비급여 기준 마련과 항목을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서비스 수출 활성화를 위해 2029년까지 역대 최대 수준인 총 66조원 규모의 수출 금융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