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의대 증원을 둘러싸고 국내 대표 대형 병원인 서울대병원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을 예고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의사협회에서는 오늘 총파업 찬반 투표 마감을 앞두고 있는데요.
이번 투표 결과에 따라 전체 휴진이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만큼 정부와 업계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길금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전체 휴진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분당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최종적으로 전체휴진이 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예정대로 전체휴진이 이뤄질 경우, 17일부터 해당 병원들에서는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제외하고는 진료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비대위는 "정부가 모든 전공의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완전히 취소하고, 자기결정권 박탈 시도로 현 사태가 악화된 것에 대한 책임을 인정할 때까지 전면 휴진은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휴진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여부는 정부에 달렸다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속 개원의를 중심으로 구성된 대한의사협회는 별도로 오늘(7일) 자정까지 총파업 찬반을 묻는 투표를 진행중입니다.

거기에 전국 국립대 병원장들도 오늘 전공의 사직서 수리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모임을 계획중인 상황.

전국 의사들이 소속된 의협에서도 파업이 결의될 경우, 기존보다 집단 휴진 여파는 더 커질 것으로 점쳐집니다.

특히 진료 대기시간은 물론, 수술을 미뤄야 하는 환자들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 의료 대혼란은 더이상 피할 수 없을 거란 우려도 나오는 상태.

의료계의 파업 움직임에 의정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오늘도 진료를 받아야하는 환자들은 기약없는 기다림을 맞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길금희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