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서울대병원, 총파업 현실화?…의료공백 '출구전략'은?

【 앵커멘트 】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개혁으로 의대 증원이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의료계가 무기한 총파업을 예고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잠시 뒤인 오후 5시부터 전체 교수들이 참여하는 총회를 갖고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는 방침인데요.
정부도 총파업 현실화를 우려해 오늘 전공의 복귀를 이끌 출구전략을 내놓았습니다.
길금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으로 2025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모집 정원이 1500명 가까이 증원된 가운데, 의료계가 총파업을 통한 강경투쟁을 예고했습니다.

먼저 움직임에 나선 건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의료계에 따르면, 이 곳 교수 비대위는 오늘 오후 총회를 열고 응급실과 분만실 등 필수의료 분야를 제외한 진료를 전면 중단하는 것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의료진이 개별적으로 휴진을 진행했던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집단 진료 거부에 들어선 겁니다.

비대위는 오후 5시부터 총파업 투표에 들어가겠다는 입장.

총파업이 최종적으로 결정될 경우, 전체 진료과목의 외래 업무와 수술은 모두 멈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오늘 의료계의 집단 움직임이 커질 것을 대비해 출구전략을 공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의료 개혁 현안 과제 발표를 통해 일단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서 수리를 허용할 것을 전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병원장에게 내린 사직서 수리금지 명령과 전공의에게 부과한 진료유지명령, 업무개시명령을 오늘부로 철회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각 병원장에게는 전공의의 개별 의사를 확인해 복귀하도록 설득해주기를 요청했습니다.

전공의들의 개별 의향에 따라 복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해서 의료 공백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인터뷰 : 조규홍 / 보건복지부 장관
- "집단 휴진 투표를 실시하고 대학 총장을 상대로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끝없는 갈등과 대립만을 촉발할 뿐입니다. 더 이상 국민들의 마음을 흔들고 고통스럽게 해서는 안 됩니다. "

정부는 또 전공의 단체에서 제시한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대책 마련,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 등 제도 개선사항도 검토하겠다는 방침.

한편 전례없는 의정 갈등이 넉 달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 속,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의 입장과 상관없이 오늘부터 7일까지 집단 휴진에 대한 온라인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는 계획입니다.

매일경제TV 길금희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