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0일 "2032년 달에 우리 탐사선을 착륙시키고, 2045년 화성에 태극기를 꽂기 위한 '스페이스 광개토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열린 개청 기념식에서 "불굴의 정신과 과감한 도전으로 광활한 영토를 개척했던 광개토대왕처럼 다른 나라가 다 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에 과감하게 도전해서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국가로 우리는 도약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우주·항공 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지원도 약속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2027년까지 관련 예산을 1조5천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2045년까지 약 100조원의 투자를 이끌어내겠다"며 "1천개의 우주 기업을 육성하고, 10개 이상은 월드클래스의 우주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했습니다.

또 "우주항공청이 출범한 5월 27일을 국가기념일인 '우주항공의 날'로 지정해 국민과 함께 우주 시대의 꿈을 키우겠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항해시대를 언급하며 우주 개척의 중요성을 피력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이어진 대항해시대는 인류 역사에서 큰 변혁의 시기였다"며 "지금 우리 앞에 열려 있는 우주 시대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500년 전 인류가 바다를 개척해서 새로운 역사를 창조했듯이 우리는 우주의 항로를 개척해서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며 "대항해 시대가 최초의 국제법을 만들어 오늘날의 글로벌 스탠더드로 이어졌듯이 우주 개척의 시대에 우리가 '스페이스 스탠더드'를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주기술의 가능성과 시장 가치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우주 기술은 최첨단 과학기술의 집합체이자 가장 강력한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2040년경에 이르면 우주산업의 시장 규모가 3천4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우주 산업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아울러 "대통령인 저보다 미국 나사(NASA)에서 30여 년간 국제 네트워크와 대형 프로젝트를 이끌어 온 존 리 임무본부장이 더 높은 연봉을 받는 것이 당연한 일이 될 것"이라며 전문가에게 합당한 대우를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우주항공청 개청식 참석에 이어 '국민과 함께하는 국가우주위원회'라는 주제로 제1회 국가우주위원회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회의에서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우주항공 5대 강국 입국을 위한 우주항공청 정책방향'을 발표하고 다양한 우주발사체·발사장 확보를 통한 우주 수송시장 선도 등의 과제를 중점 추진해 우주항공 5대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달에 가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어렵기 때문이다'라는 말을 인용하면서 "우주항공청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이 경남도와 사천시에서부터 우리나라 전체와 모든 산업에 퍼지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정부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참석했으며, 국민의힘에서는 정점식 정책위의장, 박대출·서천호·최형두 의원이 참석했습니다.

대통령실에서는 박상욱 과학기술 수석과 최원호 연구개발혁신비서관 등이 자리했습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