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단기 차입금을 늘리면서 자기자본의 84%가 넘는 36조 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로공사의 총부채는 35조8천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18년 28조1천억원 수준이었던 부채는 매년 꾸준히 늘어 2020년 31조원을 돌파한 후 지난해 36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자기자본 대비 부채 비율 역시 2018년 80.76%에서 지난해 84.35%로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말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시장 경색으로 기존 3%대였던 공사채 금리가 5%대 후반까지 치솟으면서 도로공사의 자금 조달에도 비상불이 켜진 겁니다.

특히 지난해 10월 13일 1천억원 규모의 30년 만기 장기채 입찰에서 유찰 사태를 맞으면서 단기 채권과 기업어음(CP) 발행으로 내몰렸습니다.

올해도 지난 3월과 9월 각각 1천억 원 규모의 3년물이 유찰된 바 있습니다.

도로공사는 작년 10월 18일 5.1%대의 고금리로 5년 만기의 CP 1천억 원을 발행했고, 올해 3월과 5월에도 5년 만기 CP를 각각 1천500억 원씩 발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2020년 1천억 원 발생에 그쳤던 한국도로공사의 만기 5년 이하 단기 차입금은 지난해 5천852억 원으로 급증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6월까지 3천억 원의 단기 차입금이 발생했는데, 단순 계산할 경우 연간 단기 차입금 규모는 6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자 비용 역시 2020년 7천736억원에서 지난해 8천76억 원으로 확대됐으며, 올해 상반기에만 4천600억 원이 들어 연간으로는 9천억 원 이상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김민기 위원장은 "한국도로공사의 부채가 급증하는 가운데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경색이 고금리 단기 차입금 이용을 부추겼다"며 "과도한 이자 비용으로 재무 건전성이 더 이상 악화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