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기차에 10년간 35조 투자…장재훈 사장 "'아이오닉N'으로 톱티어 EV 리더십 확보"

현대자동차가 중장기 전동화 전략 '현대 모터 웨이'를 마련하고 2030년 전기차 200만 대 판매를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향후 10년간 36조 원에 달하는 금액을 투자하고 2030년까지 전기차 부문 1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놨습니다.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은 오늘(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이런 내용을 담은 현대차의 새로운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현대차는 수익성 극대화 노력을 지원하고 미래 사업 수익 창출을 통한 선순환 사업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올해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11조 원 수준의 총 109조 4천억 원을 투자합니다.

구체적으로 ▲R&D 투자 47조 4천억 원 ▲설비투자(CAPEX) 47조 1천억 원 ▲전략투자 14조 9천억 원 등입니다.

특히 현대차는 전동화 부분 투자가 집중되는 2024년과 2025년에 12조 원 이상의 투자를 단행할 계획입니다.

전체 투자액 가운데 33%인 35조 8천억 원은 전동화 관련 투자비로 책정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 발표의 연평균 2조 2천억 원과 비교해 매년 1조 4천억 원 늘어난 규모입니다.

향후 10년 간 배터리 사업에 투자되는 9조 5천억 원은 전동화 관련 투자비에 포함됐습니다.



현대 모터 웨이는 크게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Integrated Modular Architecture) 도입 ▲전기차 생산 역량 강화 ▲배터리 역량 고도화 및 전 영역 밸류체인 구축 추진 등 3가지 전략을 골자로 합니다.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를 통한 차세대 차량 개발 체계는 현행 플랫폼 중심 개발 체계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형태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행 플랫폼 중심 개발 체계에서는 동일한 플랫폼을 쓰는 차종끼리만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며 선행 개발하는 공용 플랫폼 부품이 23개 수준이지만,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개발 체계에서는 전 차급 구분없이 적용할 수 있는 86개의 공용 모듈 시스템의 조합을 통해 차종이 개발됩니다.

예를 들어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오닉 5와 내연기관(ICE) 플랫폼을 활용한 파생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은 현재의 개발 체계에서는 모듈 호환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향후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가 도입되면 모터, 배터리뿐만 아니라 인버터, 전기전자 및 자율주행 등 핵심 전략 모듈 13개를 공유할 수 있게 됩니다.

현대차는 2세대 전용 EV 플랫폼을 통해 소형부터 초대형 SUV, 제네시스까지 공용 개발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내연기관 공장을 활용한 EV 생산과 신규 전용 공장 설립 등 '투 트랙 전략'도 병행합니다.

앞서 현대차 아이오닉5, 아이오닉6가 생산 라인에 각각 투입된 울산공장과 아산공장은 500억~1천억 원 수준의 투자와 한 달 간의 생산 라인 변경 작업의 결과로 현대차의 핵심 전기차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대차는 이렇게 기존 내연기관 공장에 전기차 라인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한국 외에도 미국, 체코, 인도 등에서 EV를 생산 중이며 향후 현지 수요 증가를 고려해 추가 현지 라인 전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현대차는 미 조지아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2024년 하반기 양산 예정)와 울산 EV 전용공장(2025년 양산 목표)에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의 스마트 제조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구상입니다.

현대차는 투 트랙 방식의 생산 역량 확대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생산 비중을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 34%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2030년 주요 지역(미국·유럽·한국)에서의 EV 생산 비중은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48%를 목표로 늘려 나갑니다.

주요 지역 별로는 전기차 전환 속도가 빠른 미국에서 현지 공장 EV 생산 비중을 올해 0.7%에서 2026년 37%, 2030년 75%로 확대할 계획이며, 유럽 공장에서는 2023년 7%, 2026년 30%에 걸쳐 2030년 54%까지 전기차 생산 비중을 높일 예정입니다.

한국 공장에서는 2023년 14%, 2026년 24%에 이어 2030년에 전체 생산 중 36%를 전기차로 생산할 방침입니다.



이 밖에도 현대차는 향후 10년 간 9조 5천억 원을 투자해 배터리 성능 향상과 차세대 배터리 선행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등을 적극 추진합니다.

안정적인 소재 수급부터 배터리 설계 및 관리 역량강화, 차세대 배터리 개발 계획을 수립해 배터리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구상입니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수요 대응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 셀 개발도 추진합니다.

LFP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셀과 특화 배터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동 개발을 배터리 회사와 진행 중입니다.

2025년쯤 공동 개발한 LFP 배터리를 전기차에 최초 적용하고 추후 신흥 시장 중심으로 탑재 모델을 늘려갈 방침입니다.

다음달 공개 예정인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은 '고성능 EV N 특화 열관리 제어'를 포함해 현대차 EV 열관리 기술이 집약될 예정입니다.

장재훈 사장은 "과거로부터 축적한 혁신 DNA '현대 모터 웨이'는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라며 "올해 출시 예정인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N'은 현대차의 유산을 계승하며 EV 리더십을 확고히 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