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제도 개편을 앞두고 소비자 혜택에 대한 논란이 뜨겁습니다.
소비자들이 마일리지를 사용해 항공권을 구매할 때, 과연
대한항공이 주장하는 것처럼 혜택이 늘었느냐는 게 관건인데요.
국토교통부 장관이 개편안을 강하게 비판하고, 오늘 정치권에서도 같은 목소리가 나오면서
대한항공이 추가 대책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명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원희룡 국토부장관이 어제(16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입니다.
"이번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안은 고객들이 애써 쌓은 마일리지의 가치를 대폭 삭감하는 것"이라며, "항공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개편안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원 장관의 주장에 동의하는 댓글이 다수 달렸습니다.
대한항공 마일리지가 이처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이유는 오는 4월부터 시행되는 마일리지 항공권 규정 변경 때문입니다.
기존에는 동북아·동남아·북미·유럽 등 지역별로 구분해 차감하던 마일리지를 앞으로는 운항 거리에 따라 공제하기로 바꾼건데, 사실상 같은 금액의 마일리지로 선택할 수 있는 항공권이 크게 줄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제도 개편 전인 3월31일 이전에 항공권을 발권할 경우 인천-뉴욕 왕복편에 7만 마일리지가 필요하지만, 개편 후인 4월 1일부터는 9만 마일이 필요합니다.
대한항공 측은 이번 개편안이 장거리 보다는 중단거리 승객들의 혜택을 늘린 것이라고 설명하면서도, 논란에 대한 추가 대책은 별도로 마련하겠다며 한 발짝 물러섰습니다.
현재 5% 수준인 보너스 좌석 비중을 확대하고, 특별기 운항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오늘(17일) 정치권에서도 마일리지 개편에 대한 비난이 일었습니다.
원내대책회의에서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일반적으로 (승객들이) 장거리 노선을 이용할 때 마일리지 항공권을 구매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중단거리 혜택을 늘렸다는)
대한항공의 주장은 모순"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대한항공의 이번 마일리지 제도 약관 변경의 공정성을 심사해 조만간 결과를 내놓습니다.
만약 공정위가 개편안에 대해 시정 권고 조치 등을 내린다면,
대한항공이 당장 4월부터 추진하려던 새 제도는 시행 연기가 당분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매일경제TV 이명진입니다.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