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상공리서치 기업 조사

日 일손부족에 중장년 활용 모색
“희망퇴직 실시할 것” 1% 미만
기업 64%가 45세 이상 중장년

만성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일본
중장년 인재 찾고 교육시키거나
연공서열 중심서 성과제로 가기도

일본 도쿄 시부야구 스크램블 스퀘어에서 직장인들이 길을 건너고 있다.

[도쿄 = 이승훈 특파원]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일손부족 현상이 심각한 일본에서 당분간 구조조정계획이 없는 기업이 99%에 달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일본기업들은 일손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구조조정보다는 중장년 인력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는 모습이다.


9일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도쿄 상공 리서치는 지난달 일본 대기업과 중소기업 약 5000곳을 대상으로 직원들의 고령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최근 3년 내 조기 또는 희망퇴직을 실시한 기업은 대기업 2.8%, 중소기업 0.7%에 그쳤다.

향후 1년 안에 조기 또는 희망퇴직 실시를 검토 중이라는 곳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전체 1%에 못 미쳤다.


조사를 실시한 도쿄상공리서치 측은 “조사 결과 예상보다 구조조정 움직임은 적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 신문은 “닛산이나 파나소닉 등 최근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을 발표한 기업들도 있으나 이 같은 움직임은 전체적으론 매우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또 직원들의 고령화에 따라 이들 기업에서만 45세 이상 중장년층이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곳은 64%에 달했다.

대기업은 57%, 중소기업은 65%가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이 중장년층이었다.

중장년층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기업도 22%나 됐다.

업종별로는 운수업(82%), 금융보험업(75%), 부동산업(71%), 건설업(70%), 농림어업 및 광업(70%) 에서 특히 고령화가 심각했다.


도쿄상공리서치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고령화가 더 두드러진다.

지방 부동산 회사는 젊은 직원이 거의 없다.

운수업도 만성 인력부족 상태”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장년층을 오랫동안 활용할 수 있게 인사와 임금 제도를 재검토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며 “이직 시장에서도 중장년 인재를 적극적으로 찾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 기업들 중에는 경험이 풍부한 중장년 인재를 전문 컨설턴트나 사내 교육 담당자로 배치해 지식과 노하우 전승을 도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식품업체 아지노모토가 대표적이다.


일본 도쿄 직장인들 출근하기 위해 집을 나서 열차가 지나가길 기다리고 있다.

[도쿄 = 이승훈 특파원]

또 중장년층 직원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훈련 등 재교육 프로그램도 확대하고 있으며, 정규직 이외에 파트타임, 파견직 등 다양한 고용 모델을 도입하는 움직임도 늘고 있다.


히타치 제작소 등 기존 연공서열 중심에서 탈피해 능력과 성과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인사와 임금 제도를 개편, 중장년층 직원도 성과에 따라 더 높은 처우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곳들도 눈에 띄는 추세다.


올해 일본은 1987년부터 1992년 사이, 이른바 버블경제기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진출한 ‘버블 입사 세대’가 법정 정년에 근접한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을 맞이한다.


이와 관련 아사히 신문은 “개정된 고령자고용안정법에 따라 만 70세까지 고용이 ‘노력 의무화’된 만큼 중장년 인력 활용은 기업들에 시급한 과제가 됐다”고 전했다.


일본에서는 개정 ‘고령자 고용안정법’에 따라 이미 기업들이 만 65세까지 고용을 의무적으로 보장해야 한다.


한편 도쿄상공리서치 집계 결과 올 상반기 일본의 기업 도산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4990건으로 11년 만에 최다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도산 증가는 고물가에 따른 원재료 비용 압박과 인력 부족에 따른 인건비 상승 영향이 컸다.


도쿄상공리서치는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 확대로 중소 영세 기업들의 일손 확보가 더 어려워졌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