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서대문구 한 상가에 임대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올해 사상 처음 2%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는 해외 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7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한국 주요국 연도별 국내총생산(GDP)갭 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
지난해 12월 분석 당시 2.0%보다 0.1%p 떨어진 수치다.
2001년 이후 OECD의 한국 잠재성장률 추정치가 2%를 밑도는 경우는 처음이다.
잠재성장률은 잠재 GDP의 증가율이고, 잠재 GDP는 한 나라의 노동·자본·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모두 동원하면서도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이다.
OECD 보고서에서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11년(3.8%) 이후 14년 동안 계속 하락했다.
특히 2022~2024년 3년간 2.2% 수준을 유지하다가 올해 갑자기 0.3%포인트(p)나 급락했다.
주요 7개국(G7)의 올해 잠재성장률은 미국(2.1%), 캐나다(1.7%), 이탈리아(1.3%), 영국(1.2%), 프랑스(1.0%), 독일(0.5%), 일본(0.2%)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하락에는 인구 감소, 생산성 하락 등 장기·구조적 요인이 작용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일 유럽중앙은행(ECB) 포럼에서 “10년 전만해도 우리(한국)의 잠재 성장률은 약 3%였지만, 지금은 2%를 꽤 밑돌고 있다”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