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경영 여건이 상반기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 중소기업 비중이 늘어난 가운데, 내수 회복은 대부분 내년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지난달 16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경기전망 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하반기 경기가 '호전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3.8%로, 상반기(7.6%)보다 6.2%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하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도 14.8%로, 상반기보다 6.4%포인트 늘었습니다.

자금 사정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은 11.4%, 공장 가동률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0.4%로 각각 5.2%포인트, 0.8%포인트씩 상승했습니다.

반면, 인력 부족을 예상한 기업은 상반기 18.6%에서 하반기 13.6%로 줄었고, 재고 수준과 설비 수준 악화를 예상한 비율도 각각 8.0%, 1.2%로 감소했습니다.

주요 경영 애로 요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 부진(49.8%)이 가장 많았고, 원자재 가격 상승(41.0%), 인건비 상승(38.4%), 자금 조달 곤란(21.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내수 회복 시점이 '내년 이후'라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54.4%는 2026년 내수 회복을 예상했고, 35.6%는 2027년을 전망했습니다.

올해 하반기 내수 회복을 예상한 응답은 10.0%에 불과했습니다.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 절감·구조조정 등 내실화(27.6%)가 가장 많았고, 경영 리스크 관리(21.6%), 핵심 인력 유지 및 역량 강화(17.0%)가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에 바라는 활력 제고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세금 부담 완화(52.6%), 금융 지원(45.8%), 인력난 해소(28.4%), 원자재 수급 안정화(26.2%)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