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인서 나타나는 cis-AB형
대부분 장비서 AB형으로 오독
세부 검사없이 수혈하면 부작용

동아시아인의 유전적·인종적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수혈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 국내 수혈 시스템은 서양인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동양인에게만 나타나는 특이 혈액형을 정확히 판별하지 못하는 등 여러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3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조덕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윤세효 하버드의대 병리과 전공의, 임하진 전남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은 지역별로 혈액형 특성을 분석해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수혈의학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트랜스퓨전(Transfusion)’ 최근호에 실렸다.


교수팀에 따르면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동아시아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과 달리 AB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RhD 음성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동아시아에서 AB형의 분포는 5~12%, RhD 음성 분포는 0.1~ 1%로 나왔고, 유럽에서는 각각 3~8%, 11~19%로 집계됐다.

혈액형 분포에서 지역적, 인종적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난 것이다.


교수팀은 이를 근거로 국가별 수혈 시스템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니버설(universal) 적혈구인 ‘O형 RhD 음성 혈액’의 경우 유럽에서는 확보가 쉬운 반면 한국에서는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유니버설 적혈구란 초응급 상황에서 혈액형 검사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국내에선 O형 RhD 음성 혈액 대신 ‘O형 RhD 양성 혈액’을 불가피하게 활용하고 있다.

대량 출혈로 응급 상황에 놓인 환자들에 한해 적용하고 있지만 위험 부담이 뒤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교수팀은 “RhD 음성 혈액을 확보하기 위해 헌혈자 등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코로나 등 위기 상황이 닥치면 수급이 어려울 수 있다”며 “보다 안정적인 공급 체계를 마련하려면 예측 가능하고 정밀한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덕 삼성서울병원 단검사의학과 교수
혈액형 검사에서도 유전적·인종적 차이에 따른 한계가 드러났다.

일례로 cis-AB형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보다 한국과 일본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데, 서양에서 개발된 일부 검사 장비는 이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일반 AB형으로 잘못 판별하는 경우가 있다.

cis-AB형 환자에게 AB형 적혈구를 수혈할 경우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해 용혈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 다른 예로는 ‘아시안-타입 델(Asian-type DEL)’을 들 수 있다.

아시안-타입 델 혈액형은 동양인에서만 발견된다고 알려져있다.

문제는 기존 검사법으로는 아시안-타입 델이 RhD 음성으로 잘못 판정되는데다, 별도로 ‘RHD 유전자’를 검사하지 않을 경우 정확하게 아시안-타입 델을 검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아시안-타입 델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소량이지만 RhD 항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혈액을 RhD 음성 환자에게 그대로 수혈할 경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RhD 음성으로 분류된 헌혈자에게 RHD 유전자 검사가 실시돼야 안전한 수혈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적혈구 항체 검사에서도 비슷한 사례들이 나타났다.

교수팀에 따르면 Mia, Dia 항원에 대한 항체도 동아시아에서는 자주 발견되지만, 서구에서 개발된 상용 항체 선별검사 키트에서는 이를 검출하지 못하고 있다.

임 교수는 “동아시아인 특성에 맞는 혈액형 유전자 검사법과 적혈구 비예기 항체 패널 도입이 필요하다”며 “나아가 희귀 혈액형 보유자를 위한 정밀한 헌혈자-수혈자 매칭 시스템 개선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기존의 서구 중심 수혈 기준이 보편적 기준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 연구”라며 “국제화 시대에 의료도 인종적 다양성을 수용한 세분화된 시스템이 각 국가마다 필요하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