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출신으로 페루서 20년 선교활동
프란치스코 교황 닮은 봉사와 헌신 여정
사상 첫 미국인 교황 선출 이변 만든 힘
“우린 모두 함께 걸을 수 있어” 첫 일성
트럼프, “미국에 얼마나 영광인가” 환영
 |
8일(현지시간) 새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 교황이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의 ‘강복의 발코니’에서 군중에게 인사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는 첫 미국인 출신이라는 점과 함께 여태껏 대중 인지도가 거의 없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파격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시카고 태생의 새 교황은 페루에서 20년간 봉사하며 주교직에 오르고 페루 귀화 시민이 됐다.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으로 가난한 이주민을 위해 헌신한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과 닮았다는 평가다.
내성적이고 신중한 성향으로 평가받는다.
1977년 미 빌라노바대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시카고가톨릭신학대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로마 교황청 성 토마스 아퀴나스대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2년 사제 서품을 받은 뒤 1985년 페루의 아우구스티누스 선교단에 합류했으며 현지 아우구스티노 신학교를 이끌었다.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를 페루 북서부 치클라요 교구 사도 행정관으로 임명한 뒤 이듬해 주교로 승격시켰다.
 |
2025년 5월 8일, 미국 출신의 로버트 F.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새로 선출된 교황 레오 14세로서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
오랜 활동 기간 동안 빈민과 이주민에 대한 지원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면서 “주교는 자신의 왕국에 앉아있는 어린 왕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발언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
또 과거 성직자 성적 학대 사건 처리를 둘러싸고 두 차례 시비가 일었지만 모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났다.
최근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발탁으로 새 주교 임명 업무를 관장하는 핵심 역할을 했다.
자신처럼 빈자와 이주민을 위해 헌신해온 그를 눈여겨 본 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미래 리더로 눈여겨보고 교황청 핵심 업무를 맡긴 게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
새로 선출된 교황 레오 14세인 미국 출신 로버트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우르비 에트 오르비(도시와 세계에)’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May 8, 2025. [사진 = REUTERS 연합뉴스] |
미 CNN 방송은 관련해서 “미국의 막강한 국제 정치적 영향력 때문에 콘클라베에서 미국 출신을 교황으로 꺼린다는 말이 많지만 프레보스트는 페루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덕에 이런 두려움을 덜어줬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CNN은 “프레보스트는 서구 출신이지만 세계 교회의 요구에 매우 세심하게 귀 기울일 인물”이라며 “권위주의적이지 않으면서도 일을 성취할 수 있기 역량에 바티칸 내에서 적절한 리더로 평가되고 있다”고 전했다.
레오 14세 교황은 8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의 ‘강복의 발코니’에서 군중에게 교황으로서 첫 인사를 하며 이탈리아어로 “평화가 여러분 모두와 함께 있기를”이라고 말했다.
이어 페루에서 오랜 세월을 보낸 기억을 떠올리며 스페인어로 같은 말을 반복했다.
이와 함께 평화 구축을 위한 ‘대화의 다리’를 건설하자고 촉구했다.
또 자신이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출신이지만 무엇보다 크리스천이었다고 강조하며 “그래서 우리는 모두 함께 걸을 수 있다”고 말했다.
 |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낸 새 교황 레오 14세를 시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May 8, 2025. [사진 = AP 연합뉴스] |
한편 첫 미국인 출신 교황 선출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얼마나 흥분되는 일이고,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영광인가”라며 환영했다.
그는 “교황 레오 14세를 만나길 고대한다며 ”그것은 매우 의미 있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