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한 오피스텔 건물에 게시된 분양 안내문.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기 침체와 상권 위축 등의 여파로 건물주들이 밤잠을 설치고 있다.
전국 상가의 공실률은 늘어나고 있는 반면 임대료는 감소하면서 투자수익률이 처참한 탓이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의 ‘2025년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
대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가 공실률은 ▲ 중대형 13.0 →13.2% ▲ 소규모 6.7→7.3% ▲ 집합 10.1→10.3% 등 모든 종류의 상가에서 전 분기보다 상승했다.
중대형 상가(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의 공실률도 눈에 띄게 높아졌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시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5.2%로 4곳 중 1곳이 빈 셈이다.
대구(16.5%), 광주(16.2%), 울산(16%), 대전(15.3%), 부산(14.2%) 등도 공실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중대형 상가 중 공실률이 한 자릿수를 기록한 지역은 서울(8.9%)과 제주(9.9%)가 유일했다.
소규모 상가(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에서는 인천(10.4%)의 공실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대전(9.1%), 전남·경남(8.4%), 충북(8.3%), 대구(8.2%) 등의 순이다.
서울은 5.3%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임대료 변동 추세를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도 전체 상가 유형에서 모두 내린 모습이다.
전국 상가 통합 임대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0.21%, 작년 동기 대비로는 0.43%가 각각 하락했다.
임대료 하락은 투자수익률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1분기 ▲ 중대형 상가 0.91%(전 분기 대비 -0.01%) ▲ 소규모 상가 0.74%(-0.06%포인트) ▲ 집합상가 1.10%(-0.09%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이전보다 하락한 것이다.
한편 이 기간 오피스의 경우 서울과 경기지역 중심업무지구 등의 높은 수요로 공실률은 하락하고, 임대료와 투자 수익률은 상승했다.
전국 오피스 공실률은 8.7%로 전 분기 대비 0.2% 줄었으며 임대가격지수는 0.44% 상승했다.
지역별로 서울에서는 도심과 강남 업무지구 선호 양상이 이어지며 상권 내 진입 수요가 여전히 높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과 판교 지역의 정보통신(IT) 업체 입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임대인 우위 시장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서울의 오피스 공실률은 5.2%로 전 분기보다 0.4%포인트 줄었으며 특히 도심(7.5%) 공실률이 2.1%포인트 감소했다.
서울의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도 0.63% 상승했다.
반면 전국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0.44% 상승했으나 충남과 전북이 각각 0.50%, 0.31% 내리는 등 지방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