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도시계획위, 정비구역 지정
1121가구·오피스 등 복합개발
응암동엔 3000가구 주택 공급
 |
서대문구 홍제동 유진상가와 인왕시장 일대 위치도. 서울시 |
한때 서울 서북권의 랜드마크였던 서대문구 홍제동 유진상가와 인왕시장 일대가 최고 49층 높이 대규모 복합공간으로 재탄생한다.
24일 서울시는 지난 23일 제6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유진상가, 인왕시장 일대에 대한 역세권 활성화 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유진상가는 1970년대 ‘서울 요새화 정책’의 일환으로 복개된 하천 위에 세워진 상징적 건물이다.
한때 서북권의 중심 상권이자 랜드마크로 꼽혔다.
이 건물의 주거동인 ‘유진맨숀’은 초기 주상복합의 대표 주자로 50여년 전 고급 아파트의 상징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내부순환로 건설로 일부가 철거된 이후 쇠퇴하며 현재는 노후화로 인한 주거 안전 문제, 중심 상권 기능 미약 등 다양한 숙제를 안고 있다.
그간 재정비촉진사업, 도시재생활성화사업 등 여러 방식을 통해 재개발이 시도됐지만, 주거환경 개선·상권 활성화·홍제천 복원이라는 복합적인 난제로 사업에 난항을 겪었다.
 |
홍제동 유진상가와 인왕시장 일대 개발 조감도. 서울시 |
이번 정비구역 지정·계획 결정이 재개발에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계획에 따라 유진상가, 인왕시장 일대는 용적률 700% 이하, 최고49층으로 대규모 복합 개발이 추진된다.
연면적 28만㎡ 규모에 공동주택 1121가구, 오피스텔 92실, 판매·업무·근린생활시설, 복지·문화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용도지역 상향에 따른 공공기여로 복개 구조물로 덮인 홍제천은 자연 상태로 복원될 예정이다.
노인·청년·영유아 등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복지·문화시설(인생케어센터)도 설치된다.
복지·문화시설로는 키즈카페, 시니어카페, 공공산후조리원, 창업지원센터, 도서관 등이 계획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유진상가, 인왕시장 일대 사업을 통해 홍제천 수변공간과 연계된 중심상권이 조성되고,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복지·문화시설이 들어서면서 서북권을 대표하는 수변감성 복합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응암동 700번지 및 755번지 일대 위치도. 서울시 |
한편 전날 은평구 응암동 700번지 및 755번지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구역 정비계획 결정·경관심의안도 서울시 도계위를 통과했다.
향후 이 일대에 3000여 가구 규모의 주택과 공영 주차장, 공원, 복지시설, 보육시설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