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벌기 참 쉽네?”…친트럼프 의원, 관세유예 발표직전 수십만 달러 주식 매수

[사진 = AP 연합뉴스]
친(親)트럼프 성향의 하원의원이 국가별 상호관세 90일 발표 당일 및 그 전날 수십만 달러 규모의 주식을 산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다.


1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공화당 소속의 트럼프 충성파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조지아)은 이 같은 내용의 주식 거래내역을 하원을 통해 공개했다.


외신에 따르면 그린 의원은 지난 8일과 9일에 1011달러에서 1만5000달러 범위에서 21건의 주식거래를 체결했다.


양일간 매수한 금액은 2만1000달러에서 31만5000달러 규모다.

매수 종목에는 아마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퀄컴, 블랙스톤 등이 포함됐다.


미 하원의원은 주식 거래에 대해 30일 이내 신고하게 돼 있지만 구체적인 금액 대신 대략적 범위만 기재하면 된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90일 관세 유예를 전격적으로 발표하기 이전에 실제 어느 정도 거래가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다만 ‘90일 유예’ 발표 전날인 8일 거래 금액은 1만1011달러에서 16만5000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그린 의원은 또 같은 기간 5만달러에서 10만달러 사이의 국채도 매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하던 지난 9일 오전에 “지금은 매수 적기”라는 글을 올렸으며 뒤이어 “침착하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절대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언급했지만 9일 낮에 전격적으로 ‘90일 유예’ 조치를 발표했으며 그날 주식이 치솟았다.


이에 미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유예’ 발표 전에 트럼프 측 인사들이 이른바 ‘내부자 거래’를 했는지 조사해줄 것을 당국에 촉구했다.


CNN에 따르면 러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은 관세 유예 조치와 관련해 최근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과 주변인들의 내부자 거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다만, 본격적 수사가 아니라 초기 조사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