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기든 하버드에 강경
면세 지위 박탈 가능성 시사해
‘美행정부 vs 하버드’ 격화돼
 |
15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캠퍼스 앞을 사람들이 걷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명문 하버드대 간 갈등이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연방정부의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 하버드대에 대해 ‘면세 지위’ 박탈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하버드가 정치적, 이념적, 그리고 테러리스트의 영감을 받거나 지지하는 ‘질병’을 계속 추진한다면 면세 지위를 잃고 정치 단체로 세금이 매겨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면세 지위는 전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것에 달려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고 강조했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하버드와 관련해 대통령은 그들이 연방 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해왔다”며 “그는 하버드대가 자신들의 캠퍼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벌어진 끔찍한 반유대주의에 대해 사과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에 대한 공격을 더욱 격화시키는 신호라고 하버드대 학생신문 하버드크림슨이 지적했다.
하버드대와 같은 교육기관은 종교, 자선 목적의 비영리 기관과 함께 연방 소득세 등 다양한 영역의 세금에 대해 면제 혜택을 받고 있다.
다만 명시된 목적 이외의 활동을 할 경우 그 지위가 취소될 수 있다.
블룸버그는 “면제 지위는 졸업생들이 학교에 기부한 돈에 대해 세금 공제가 가능해 기부 유도 효과를 준다면서 ”하버드대의 면세 지위를 완전히 박탈하는 것은 대학에 심각한 재정적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하버드대는 전날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한 트럼프 정부의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수년간 22억달러(약 3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과 60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반유대주의 확산을 방치했다는 이유로 하버드대에 입학·채용 과정에서 다양성 프로그램 중단과 반유대주의 관련 학술 프로그램 개편 등을 요구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