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비아대 '보조금 삭감' 항의 시위미국 컬럼비아대 의과대학에 소속된 의사·간호사·연구원·교수진이 14일(현지시간) 컬럼비아대 캠퍼스에서 연구와 관련된 연방보조금이 삭감되자 이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하버드대가 학내 반유대주의를 근절하라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에 맞서 저항하는 길을 택했다.

근절에 나서지 않으면 연방 보조금과 계약을 취소당할 처지에 놓인 가운데서도 대학의 자율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취지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이날 학내 커뮤니티에 보내는 글에서 "자율성과 헌법상 권리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 어느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지 지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이 대학과 맺은 2억5560만달러(약 3800억원)짜리 계약은 물론 87억달러(약 12조8000억원)에 달하는 연방보조금 지급 여부를 재검토 중이라고 통보했다.

그러면서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해 정부가 요구하는 9가지 조치를 거부하면 보조금 지원을 막고 계약을 파기하겠다고 위협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촉구한 조치는 마스크 전면 금지, 거버넌스·리더십·입학정책 변경,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 등이다.


이에 대해 가버 총장은 "정부에서는 우리에게 반유대주의에 맞서기 위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이는) 적법 절차를 무시하는 것으로 대부분 대학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를 의미하고 있다"고 맞받았다.


하버드대는 현재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한편 연방정부 지원이 끊길 것에 대비해 실탄도 마련해둔 상태다.

하버드대 교수협회는 지난 11일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와 압박이 학문의 자유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며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전을 택한 대학 측은 트럼프 행정부와 전면전을 치르기 위해 총 7억5000만달러(약 1조680억원)를 차입하며 유동성을 확보해뒀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미국 정부 내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TF)'는 몇 시간 만에 성명을 내고 하버드대에 수년간 22억달러(약 3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과 6000만달러(약 854억원) 규모의 계약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TF는 "하버드대의 오늘 성명은 미국 최고 명문 대학에 만연한 문제적인 권리 의식, 즉 연방 정부 투자에는 시민권법을 준수할 책임이 따르지 않는다는 생각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