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으로 유명한데 샴푸·치약도 포기…국민 빈곤 불안하다는 ‘이 나라’

프랑스 파리의 소르본 광장 앞 거리. [사진 = 연합뉴스]
프랑스 국민의 절반이 불안정한 경제 지표에 빈곤한 삶을 살게 될 것을 우려해 미용용품과 위생용품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14일 여론조사기관 IFOP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4일부터 20일까지 일주일 동안 프랑스인 40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9%가 생활비가 부족해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나아가 전체 응답자의 41%는 빈곤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21%는 식량을 구매하기 위해 자선 단체의 도움을 받게 될 수도 있다고 답변했다.

코로나19 대유행과 인플레이션, 정치적 불확실성, 미국발 관세전쟁 등의 영향으로 경제적 불안감이 커진 셈이다.


국민적 우려는 소비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47%는 어려운 경제 현황이 위생용품 소비를 제한하거나 줄이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또 17%는 식료품과 위생용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경험했다.


프랑스인은 주로 메이크업 제품, 헤어 관리 제품, 보습 제품 등을 포기했다.

실제로 프랑스 여성은 화장(37%)이나 염색(36%)을 하지 않게 됐다고 응답했다.


기본적인 위생용품을 장바구니에 담지 못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전체 응답자의 9%는 샴푸를 사지 않았다.

8%는 치약이나 샤워젤을 사지 않았다.

21%는 세탁 시 세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세제 용량을 줄였다.


IFOP은 “경제적 취약성 지표가 지난해 대비 개선되긴 했으나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며 “특히 위생 빈곤은 이제 한정된 취약 계층의 문제가 아니어서 위기가 구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수 제품에 대한 접근을 사회적 포용 수단으로 재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