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에 시달리는 일본 기업이 채용문을 확대하고 급여 인상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인력 쟁탈전도 경쟁적으로 펼치면서 월 100만원가량 급여를 올린 곳도 등장했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일본 주요 기업 272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올해 신입사원 첫 급여를 월 30만엔(약 300만원) 이상 주는 기업이 131곳으로 집계돼 지난해 58곳에서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보도했다.
평균 급여는 월 25만4228엔(약 255만원)으로 지난해 대비 4.9% 신장했다.
기업들은 급여를 올린 이유로 '인재 확보(83.4%)'를 꼽았다.
'고물가에 대응한 지원 성격'이라고 응답한 업체도 57.2%에 달했다.
업종별로 평균 급여가 높게 인상된 곳은 은행과 철도·버스였다.
특히 철도·버스 등은 지난해부터 초과근무 시간에 대한 유예가 종료되면서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물류·유통업체인 세이부홀딩스는 올해 신입사원 급여를 전년보다 27% 증가한 32만엔으로 올렸다.
은행 업종에서는 지방은행이 적극적으로 급여를 인상했다.
이번 조사에서 인상률 상위 20위 이내에 7곳이 이름을 올렸다.
후쿠이은행은 지난해 20만5000엔에서 올해 26만엔으로 월급여를 올렸다.
이는 도심 은행과 비슷한 수준이다.
가장 많이 급여를 인상한 곳은 건설업체인 다이와하우스그룹으로 월급여를 10만엔이나 높여 신입사원 초봉을 35만엔까지 끌어올렸다.
파격적인 급여를 통해 우수한 인재를 영입하겠다는 전략이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