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전쟁 ◆

아이폰을 비롯해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 가격이 올라 미국 소비자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제외하기로 했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이 같은 내용의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제외 대상은 스마트폰, 노트북컴퓨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 20개 품목이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이번 조치가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소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애플 등 자국 빅테크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애플은 아이폰의 약 8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상호관세 부과 시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 125% 상호관세와 '10%+10%' 추가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미국은 상호관세와 별도로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 부과를 앞두고 있다.

품목별 관세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며 "월요일(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3일 ABC방송에 "상호관세에서 빠진 전자제품은 반도체 품목관세에 포함될 것"이라며 "반도체 관세는 한 달 내, 의약품은 한두 달 내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