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인플레 더 오래 갈수도”

미 캘리포니아주의 한 슈퍼마켓. AFP 연합뉴스
지난 3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밑돌며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3월 소지바물가 상승률 둔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효과가 극히 일부만 반영돼 향후 물가 인상 우려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6%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전월과 비교해선 0.1% 하락해 역시 전문가 전망치(0.1% 상승)를 밑돌았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1% 각각 상승했다.

근원 CPI 역시 전문가 전망치(전년 대비 3.0%·전월 대비 0.2%)를 밑돌았다.

이는 2021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3월 트럼프 관세 전망과 식료품 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휘발유와 자동차 가격이 하락하고 임대료 인상폭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관세 불확실성이 본격화된 4월부터 물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투자자와 정책 입안자, 기업이 이 수치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영향은 4월 CPI 보고서에서야 나타날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한편 미 노동부는 지난주(3월 30일∼4월 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3000건으로, 한 주 전보다 4000건 증가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