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랬다 저랬다, 도대체 어떡하라고”…‘트럼프 말바꾸기’에 기업들 고통·분통

[사진출처=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응해 경영 전략을 짜는 기업들은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가늠할 수 없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작된 지 불과 13시간여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에서 125%로 올렸다.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이 기간 25%에서 10%로 낮아진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對)미국 관세·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에 나선 한국을 비롯한 70여개국에 대해 한시적으로 관세율을 낮췄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일단 25% 관세 부과가 유예돼 급한 불을 끈 점은 다행으로 여기면서도 더욱 커진 정책 불확실성에 대응 방안을 고심하는 상황에 처했다.


경기 침체와 관세 부과를 고려해 다양한 전략을 검토해온 기업들은 불확실성 요소가 가중돼 앞으로의 시나리오를 더욱 예상하기 어려워져서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생산기지를 둔 국내 기업들은 양국에 대한 25% 관세 방침에 공장 이전 등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다가 일단 보류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으나,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때는 무역협정(USMCA) 적용 품목에 계속 무(無)관세를 유지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수출 기업 입장에서는 고율의 관세도 부담스럽지만 그보다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예측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더 힘들어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관세 정책이 요동치고 중국과 다른 국가의 대응도 이에 따라 변화하면서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는 시기라 어려움이 더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공세 수위가 높아지면서 미국과 중국 간 갈등 확산을 둘러싼 우려도 크다.

두 나라 모두 한국에 놓칠 수 없는 주요 교역국이기 때문이다.


미중 통상 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양측과 모두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균형 잡힌 전략을 펼쳐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