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 해당조치 “즉시 발효” 발표
중국 보복에 ‘치킨게임’ 점입가경
상호관세는 ‘기본세율’ 10%만 부과
베선트 “상호관세 유예, 협상위한 것”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진행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EPA 연합]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재보복 조치’에 대응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포인트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고, ‘기본 관세’에 해당하는 10%만 부과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이같은 조치가 “즉시 발효된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포인트로 인상하기로 한 결정이 “중국이 세계 시장에 보여준 존경심의 부족에 근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희망컨대 머지않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용납되지도 않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반대로 75개국 이상이 무역, 무역 장벽, 관세, 환율조작, 비관세 장벽 등의 주제에 대한 해법을 협상하기 위해 미국 대표에게 전화한 사실과 이들 국가는 어떤 방식이나 형식으로 미국에 대해 보복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토대로 나는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승인했고, 상호관세를 10%로 대폭 낮췄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대한 중국의 맞대응에 이어 나온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9일 0시(미 동부시간 기준)를 기해 전세계 국가에 ‘10% + 알파’(한국은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시작한 바 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부터 중국에 대해 기존에 부과했던 20%포인트 추가 관세에 상호관세(84%포인트)를 더한 104%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중국은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34%에서 84%로 올리며 ‘맞불 대응’에 나섰고,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이를 맞받아치며 대중 관세율을 125%까지 높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즉시 유예’ 조치에 따라 발효 13시간 20여분만에 시행이 유예되게 됐다.
이와 관련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미국에 보복하지 않고 관세 인하를 요청한 국가들과 무역 합의를 협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했다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인하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식시장 급락 때문에 상호관세를 유예했냐는 질문에 “아니다.
많은 요청이 있었고 75개가 넘는 국가가 우리를 접촉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는 “각 국가에 대한 해법은 맞춤형으로 할 텐데 그건 시간이 약간 걸릴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90일 유예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에 미 증시는 일제히 급등세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장중 40,000선을 회복했고, 나스닥도 장중 10%까지 상승폭을 확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