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투자자, 10일 홈플러스 사태 변제안 요구 기일 앞두고 MBK 압박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회와 투자자들이 MBK파트너스를 향해 변제안을 촉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오는 10일까지 구체적 피해 구제안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 형사 고소하겠다는 방침이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유동화전단채(ABSTB) 투자 피해자들은 MBK를 상대로 고소를 준비하고 있다.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10일까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홈플러스가 피해 구제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11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장을 접수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여야 3당 의원들도 이미 MBK 측에 오는 10일까지 사재 출연 등 구체적인 변제안을 제시하라고 공식 촉구한 상황이다.


MBK와 홈플러스는 정치권과 투자자, 감독당국 등으로부터 전방위적인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홈플러스의 기습적인 기업회생 신청과 신청 직전까지 대규모 유동화 전단채가 발행됐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이 강등되기 직전인 2월 25일까지도 820억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했다.


이후 신용등급은 2월 28일 강등됐고, 홈플러스는 삼일절 연휴 직후 첫 영업일인 3월 4일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다.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가 신용등급 강등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전단채를 발행한 정황을 포착한 상태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은 지난 1일 현안브리핑에서 “홈플러스 측이 적어도 강등 날짜 이전에 이를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금감원 집계에 따르면 현재 홈플러스가 발행한 ABSTB 잔액 규모는 총 4019억원이며 이 중 개인투자자 비중은 1777억원에 달한다.


홈플러스 채권을 판매한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는 지난 1일 홈플러스를 사기 혐의로 고소한 상태다.


지난달 16일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 소상공인 결제 대금 지원 등 상거래 채권 변제를 위한 사재 출연을 약속했다.

이후 구체적인 출연규모 등은 아직 밝히지 않았다.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는 지난달 18일 국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사재출연을 포함한 책임있는 방식으로 유동화채권에 대해 100% 변제하겠다”고 약속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