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출처 = 챗GPT] |
일부 기업의 채용 담당자가 면접장에서 구직자의 커피잔을 다루는 태도를 채용 결과에 반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경제 전문지 포천은 6일(현지시간) 일부 채용 담당자가 구직자를 대상으로 이른바 ‘커피잔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회계 플랫폼 제노의 전 전무이사이자 호텔 커머스 플랫폼 사이트마인더의 대표 트렌트 이네스는 최근 팟캐스트 ‘더 벤처스’를 통해 이 테스트에 관해 소개했다.
그는 ‘커피잔 테스트’에 대해 “지원자를 데리고 탕비실로 가서 커피를 마시다 면접장으로 컵을 가져가 면접을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커피를 블랙으로 마시느냐 설탕을 넣어 마시느냐는 채용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커피 대신 물이나 차를 마셔도 테스트에 통과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면접이 끝날 때 지원자가 그 빈 컵을 탕비실로 다시 가져가려고 하는지를 항상 확인한다”고 덧붙였다.
직무에 적합한 지원자라도 면접장에 사용한 컵을 그대로 두고 간 사람은 채용 관리자로부터 회신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네스는 “컵을 치우지 않는 행동은 그 사람이 회사 문화에 적합하지 않다는 경고 신호와 같다”며 “기술은 개발할 수 있고, 지식과 경험은 쌓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태도다.
사용한 컵이나, 머그잔, 유리잔을 탕비실로 가져간다는 건 팀원으로서 사려 깊고, 작은 일에도 신경 쓴다는 걸 보여준다”고 전했다.
채용 담당자들은 커피잔 테스트가 실제 채용에 효과가 있다고도 주장했다.
글로벌 임원 채용 기관인 벤틀리 루이스의 CEO 루이스 말레는 “(커피잔 테스트는) 20년간의 채용 경험에서 본 많은 미묘한 테스트 중 하나다.
이 테스트가 정말 가치 있다고 여긴다”며 “이런 작은 행동을 관찰해 면접장에서의 공식적인 질의응답에서는 결코 알아낼 수 없는 그 사람에 대한 많은 것을 알려준다는 걸 알게 됐다”고 했다.
아울러 “채용의 많은 부분은 조직 문화와의 적합성에 관한 것이며, 이 테스트는 지원자가 조직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라면서도 “다만 훌륭한 지원자여도 긴장할 수 있고,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실수할 수 있다.
이 테스트는 채용 과정 중 일부분”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