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경범죄로도 취소돼
비자 취소 되면 추방 대상
“유학생 사이에 공포 퍼져”
 |
챗GPT 생성 이미지. |
최근 미국 대학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비자가 일방적으로 취소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미국 이민당국이 취소 이유도 명확하게 밝히지 않으면서 유학생들이 겪는 혼란과 공포도 커지는 분위기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컬럼비아대, 하버드대, UC샌디에고, 켄터키대, 미네소타 주립대 등 미국 전역의 대학에서 유학생들의 비자 취소 사례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들중 상당수 대학교는 이민 당국의 통보 대신 국제 학생 데이터베이스(
DB)를 모니터링하거나 미국 이민 단속 요원들의 체포 활동으로 뒤늦게 자교 학생들의 비자 취소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학생들의 학생 비자 줄취소 사태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학 내 반유대주의 강경 대응 방침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린다 맥마흔 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인터뷰를 통해 대학들이 미국에 비우호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더 철저히 걸러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도 지난달 최소 300건의 학생 비자가 취소된 사실을 확인하며 ‘비자 남용’이 의심되는 유학생을 계속 추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반유대주의와 상관없이 비자가 취소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자동차 주행 속도위반이나 노상방뇨와 같은 경범죄로 비자 취소를 통보받는 학생들도 있으며, 심지어 범죄 기록이나 시위 참여 경력이 없는 중국인 유학생도 비자 취소의 타깃이 됐다.
엘리자베스 고스 이민 전문 변호사는 WSJ에 “이제는 시스템 내에서 아주 미미한 경고 신호만으로도 비자를 취소하는 것 같다”며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비자 취소로 유학생들은 공포에 떨고 있다.
비자가 취소되면 즉시 추방될 위험에 놓이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내 국제 학생 비자 소지자는 약 110만 명에 이른다.
WSJ는 “비자 취소 건수 자체는 아직 소수”라면서도 “이유가 불분명하고 예측 불가능한 조치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 공포가 퍼지고 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