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산업 활성화’ 행정명령
바이든 전임 정부 규제 뒤집기
머스크의 테슬라 주가는 ‘뚝뚝’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탄광 노동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설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
미국에서 화석연료 시대가 돌아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내 석탄 산업을 활성화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 에너지 활성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석탄은 가장 신뢰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안전하고 강력한 에너지”라며 “저렴하고 효율성이 뛰어나며 거의 파괴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아름답고 깨끗한 석탄을 포함한 저렴한 미국 에너지 활용을 계속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축복받은 나라. 우리는 이 자원을 매우 책임감 있게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석탄 채굴 과정에서 첨단 기술에 필요한 엄청난 주요 광물과 희토류를 추출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모든 연방 정부 부처와 기관에 석탄 산업에 대한 차별적 정책을 중단하고 새로운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와 자금 지원을 늘리는 내용이 담겼다.
또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규제에 따른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중단과 석탄 발전을 통한 전력망 안정을 도모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아울러 민주당이 장악한 일부 주를 상대로 석탄 채굴·발전을 차별하는 정책을 조사할 것을 법무부에 지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석탄 채굴 활성화를 위해 ‘국방 생산법’을 활용할 방침이다.
이번 행정명령 발표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배터리 산업에 타격을 줄 전망이다.
이 탓에 트럼프 대통령 측근인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테슬라 주가가 이날 4.90%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승리 이후 승승장구하던 테슬라 주가는 올해 들어 40% 넘게 빠졌다.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은 머스크가 연방 정부 지출 삭감과 대규모 해고를 주도하면서 트럼프 반대
진영의 공격 대상으로 지목됐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및 에너지 전략이 테슬라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