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와 전화 협의한 日 이시바
관세 대응 종합 대책본부 설치하고
경제재생담당상을 담당 각료 지정
美는 재무장관이 후속 협의 담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나섰다.

미일 양국 정상이 전화로 관세 협의를 한 데 이어 담당 장관을 지정해 문제 해결에 나선 것이다.


일본 정부는 8일 각의(국무회의)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본부장으로, 모든 내각 구성원이 참여하는 종합 대책본부 설치를 결정했다.

첫 회의에서 이시바 총리는 미국에 관세 조치의 재검토를 강력히 요구할 것과 국내 대책에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했다.


이시바 총리는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협의를 했다.

후속 조치로 양국은 담당 장관을 지명해 관세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일본은 담당 각료로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을 지명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시바 총리와 지역구가 돗토리현으로 같은 측근으로 통한다.

미국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을 후속 협의를 맡을 장관으로 정했다.


베센트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일본 정부와 협의를 개시하도록 지시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일본의 비관세 무역장벽이 많다”며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은 결실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비관세 장벽 등도 의제가 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엔저를 문제 삼아온 만큼 양국 장관 회담에서 환율도 주요한 논의대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달러당 엔화값은 최근 1년간 140~160엔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일본 정부가 몇 차례 엔 매수를 통해 지나친 엔저를 방어해 왔던 만큼 적절한 수준의 외환시장 개입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닛케이는 “외환시장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개입이 효과를 발휘하기가 쉽지 않다”며 “미국 재무성의 협조를 얻기도 쉽지 않고 주요 7개국(G7)의 합의에도 위배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약 25분간 통화하며 일본이 5년 연속 세계 최대 대미 투자국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일본 기업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그들(일본)은 무역에서 미국을 나쁘게 대했다”며 “그들은 우리의 자동차를 사지 않고 농업과 다른 물건도 마찬가지다.

모든 것이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