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뉴욕의 한 애플 매장. [AFP =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 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내 아이폰 판매가가 급등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이 가운데 현지 소비자들은 관세 부과 전에 아이폰을 구매해야 한다며 매장으로 몰리고 있다.
8일 블룸버그통신은 한 익명의 애플 매장 직원을 인용해 “매장이 휴대전화를 ‘패닉 바잉’(불안감에 의한 사재기)하려는 사람들로 붐볐다”고 전했다.
이 직원은 “거의 모든 고객이 가격이 곧 오를지 물어봤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주말 미국 전역의 매장이 이러한 이유로 찾아온 고객들로 붐볐다.
이러한 현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공개한 뒤 발생한 것이다.
애플은 아이폰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34%로 발표하면서 큰 타격을 입게 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부과한 바 있다.
애플 주가는 크게 하락해 시총은 최근 3거래일간 6380억달러(939조원) 증발했다.
매체는 “닷컴 버블 붕괴 이후 최악의 3거래일 하락세”라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UBS 애널리스트는 7일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애플이 미국에서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가격을 최대 350달러(약 51만원) 인상할 수 있다”고 했다.
아이폰16 프로 맥스는 현재 시장에 출시된 애플의 최고급 모델로, 현재 판매가는 1199달러(약 176만원)다.
이와 관련해 “애플이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상호관세율 26%)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 시장에 더 많이 공급할 예정”이라는 내용의 보도도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런 조정은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단기적인 임시 조치”라며 “애플은 현재 상황이 공급망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바꾸기에는 불확실하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