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서 상호관세 폭격을 맞은 유럽연합(EU)의 보복 조치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중국과 캐나다에 이어 EU가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에 동참하면서 무역전쟁 확전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EU가 280억달러(약 41조원) 규모 미국산 수입품을 표적으로 보복관세를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9일 예정된 표결에서 27개 회원국 가운데 15개국 이상이 반대하지 않으면 시행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EU 행정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7~8일 철강·자동차·제약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별도로 회동해 관세의 영향을 평가하고 대응책을 결정할 계획이다.


로이터통신은 EU와 미국 간 무역전쟁에서 주목할 품목으로 미국산 버번위스키를 꼽았다.

해당 품목에 50% 관세를 매기겠다는 EU 방침에 트럼프 대통령은 와인을 비롯한 모든 EU산 주류에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EU의 고질적 문제점인 회원국 간 입장차가 이번에도 불거지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대미 투자 중단"까지 주장할 정도로 강경한 태도를 보인다.

또 미국 빅테크 기업을 겨냥한 EU 차원의 디지털세 부과를 강조하고 있다.


반면 미국 빅테크 기업의 유럽 본사를 다수 유치한 아일랜드는 대미 대응에 미온적이다.

대미 수출이 전체에서 3분의 1을 차지하는 아일랜드는 '신중하고 계산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한 EU 외교관은 로이터통신에 "균형을 잡기가 어렵다"며 "미국을 협상 테이블로 불러오려면 너무 부드러워서도 안 되고 너무 강경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대미 보복에 회의적이다.

멜로니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를 "잘못된 조치"라고 비판하면서도 "미국과 합의하기 위해선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