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미국발 상호관세 쇼크에 오늘(7일) 5% 넘게 폭락했습니다.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37.22포인트(5.57%) 내린 2천328.20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락률과 하락폭 모두 작년 8월 5일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입니다.
지수는 106.17포인트(4.31%) 내린 2천359.25로 장을 시작한 뒤 4~5%대 급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장중 저가인 2,327.01은 2023년 11월 1일(2천288.64)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으며, 종가 기준으로도 2023년 11월 1일(2천301.56) 이후 최저입니다.
장 초반인 오전 9시 12분에는 코스피200선물지수가 1분 이상 5% 넘게 하락하면서 프로그램매매 매도 호가의 효력이 정지되는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습니다.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은 작년 8월 5일 이후 약 8개월 만입니다.
특히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3조 원에 가까운 자금을 순유출하며 증시에 하방 압력을 가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949억 원을 순매도하며 2021년 8월 13일 이후 최대 규모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
역대 순매도 5위의 기록입니다.
기관은 2천532억 원, 개인은 1조6천745억 원을 순매수했지만, 낙폭을 줄이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외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7천883억 원어치를 매도하며 현선물 합계 2조8천832억 원을 팔아치웠습니다.
일명 '공포 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는 전일 대비 65.04% 상승한 44.23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 5일(45.86) 이후 최고치입니다.
이날 종가 기준 코스피의 시가총액은 1천906조1천428억 원으로, 코스피 시총이 2천조 원 아래로 내려온 것은 지난 1월 3일 이후 약 3개월 만입니다.
이날 코스피 종목 중 하락종목 수는 866개로 올 들어 가장 많았으며, 역대로는 14번째로 많은 수준입니다.
다만 이날 코스피 낙폭은 일본 닛케이225(-7.83%), 대만 가권지수(-9.70%), 중국 상해지수(-7.34%) 등 여타 아시아 지수보다는 선방한 수준이었습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6.09포인트(5.25%) 내린 651.30으로 마감해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코스닥 지수의 하락폭과 하락률 역시 작년 8월 5일 이후 가장 컸습니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37포인트(2.96%) 내린 667.02로 출발한 뒤 급락세를 지속했습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이 1천870억 원을 순매도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64억 원, 1천671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