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우려 속에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오늘(7일) 원화 가치가 급락했습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 거래일보다 33.7원 뛴 1,467.8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유행 초반인 2020년 3월 19일(40.0원) 이후 약 5년 만에 최대폭입니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2.9원 높은 1천462.0원에 출발해 한 때 1,471.6원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더 치고 오르지 않고 상승폭을 축소해서 오후 2시 30분 무렵 1,461원까지 내렸습니다.

환율은 이후 다시 반등해 1,460원대 후반에서 주간 장을 마무리했습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64% 오른 102.546을 기록했습니다.

이날 환율 급락은 미국 상호관세와 이를 맞받아 친 중국의 보복관세 발표 여파로 세계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위험 자산 회피 심리가 강해진 탓으로 해석됩니다.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주가지수가 일제히 급락한 가운데 국내 증시에서도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모두 5% 넘게 떨어졌습니다.

달러화와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의 가치는 급등했습니다.

원·엔 환율은 1,000원을 넘어서며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전 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26.39원 오른 100엔당 1,008.21원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 4월 27일(1,000.26원) 이후 약 2년 만에 1,000원을 넘어섰으며, 2022년 3월 22일(1,011.75원)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같은 시각 엔·달러 환율은 0.31% 내린 145.576엔을 나타냈습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